경제불황 국면 진입 우려
![[사진=클립아트코리아]](/news/photo/202302/109302_61627_158.jpg)
[정보통신신문=서유덕기자]
올해 경제성장률이 1.5%에 그치며 경제불황 국면에 본격 들어설 것이라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KERI)은 지난 3일 ‘KERI 경제동향과 전망: 2023년 1/4분기 보고서’를 통해 올해 경제성장률이 1.5%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1.9%보다 0.4%포인트(p) 하향 전망한 수치로, 지난해 연말을 기점으로 가팔라진 경기위축 속도를 반영한 것이라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한경연은 글로벌 경기둔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이를 극복할 국내 성장모멘텀은 부재함에 따라 1.5% 저성장을 기록하며 본격적인 불황국면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급격한 금리인상에 따른 부작용이 소비·투자위축으로 빠르게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를 거치며 심화한 경제여건의 부실화와 정책적 지원여력 약화의 영향으로 1%대 후반의 성장마저도 기대하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급진적 긴축기조를 지속하거나 과도한 수준의 민간부채가 금융시장의 위기로 파급돼 불확실성이 증폭하게 될 경우 성장률 감소 폭은 더 커질 수 있다”며 “오랜 기간 경제여건 부실화가 진행된데다 코로나19 기간의 과도한 재정지출로 정책적 지원여력마저 떨어져 성장률 하향전망이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내수부문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2.4% 성장하며 미흡한 수준의 성장에 그칠 것으로 바라봤다. 이는 2022년 민간소비 성장률 4.4%보다 2.0%p 낮은 수치다. 그간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회복세를 보여 왔던 민간소비는 고물가로 인한 실질구매력 감소와 경기둔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이 부진흐름을 주도하는 가운데, 자영업자 소득감소, 금리인상으로 폭증한 가계부채원리금 상환부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큰 폭으로 위축하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부문에 대한 공격적 투자 지속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기위축에 따른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본조달 비용부담까지 가중되며 -2.5 %의 역성장을 피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과거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억제 의지로 부진을 지속해 온 건설투자는 공공재개발 등 정부주도의 건물건설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라 공사현장의 차질과 불협화음이 지속되면서 -0.5% 성장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 원자재가격이 상반기를 경과하며 점차 안정을 되찾고 강달러 현상 역시 완화하게 됨에 따라 2022년보다 1.7%p 가까이 낮은 3.4%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간 경제성장을 견인해왔던 실질수출도 글로벌 경기침체 심화,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부진에 따른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1.2% 성장에 그칠 것으로 봤다. 이는 2022년 수출 성장률 3.1% 보다 1.9%p 낮은 수치다.
이승석 부연구위원은 “최대수출국인 중국의 경기위축 폭이 예상보다 커지거나 반도체 이외의 주력 수출품목 실적이 기대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수출증가세가 더 약화하게 될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한편, 경상수지는 상품수지가 저조한 실적을 보이는 가운데 서비스수지 적자가 확대되면서 145억달러(한화 약 18조2700억원)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