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통신신문=박남수기자] “올해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할 6대 디지털혁신 확산분야 초격차 기술력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특히 6G와 인공지능(AI) 반도체, 양자, 데이터, 사이버보안 등에 집중하겠습니다."
전성배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원장은 20일 신년 기자간담회를 열고 2023년 업무계획과 정책방향에 대해 이 같이 밝혔다.
전 원장은 "올해 IITP의 정보통신기술(ICT) 연구개발(R&D) 예산은 전년 대비 5.6% 증가한 총 1조6688억원"이라고 말했다.
세부내용을 살펴보면 기술개발 1조1083억원, 인재양성 3331억원, 기반조성, 사업화 등에 2274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IITP는 당해 시작되는 사업착수와 함께, 예타 등 중장기 신규사업 기획이 동시에 추진된다.
IITP가 올해 집중할 6대 기술분야는 △인공지능(AI)·데이터(1314억원) △AI반도체 및 양자(1552억원) △5G·6G 등 통신·네트워크(1110억원) △사이버보안(1128억원) △메타버스(835억원)다.
통신·네트워크는 방송통신산업 기술개발(차세대 유·무선통신)에 631억원, 6G 핵심기술개발에 327억원, 5G기반 사물인터넷(IoT) 핵심기술개발에 66억원, 자율형 IoT 핵심기술개발에 25억원, 5G 개방형네트워크 핵심 기술개발에 62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IITP는 올해 초 단행한 디지털 혁신기술 분야별로 정비된 조직과 지난해 개편한 ‘임무지향·문제해결형’과 ‘기술축적형’ 등의 R&D 체계에 따라 정책기획부터 사업화까지 원스톱 책임관리를 해나갈 계획이다.
디지털 패권 경쟁의 핵심인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해서도 총력을 기울인다. 우선 AI반도체, 메타버스 등 디지털 전략기술 분야별로 석·박사급의 연구인력 배출 기반을 확대 개편했다. AI대학원(200억원), AI반도체고급인재(신규, 43억원), 대학ICT연구센터(392억원) 등이다.
ICT뿐 아니라 비 ICT업계로까지 급증하고 있는 인재난을 해소하고, 산업 맞춤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기업연계를 강화한 수준별 SW혁신교육과정, 프로젝트 기반 글로벌인재 프로그램 등을 지원한다. SW중심대학(838억원), 이노베이션아카데미(332억원), 프로젝트형글로벌역량강화(40억원) 등이다.
전성배 IITP 원장은 “공정하고 객관적인 R&D 지원을 바탕으로 디지털 혁신 기술과 인재 조기 확보를 통해 우리나라가 디지털 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파트너라는 마음으로 현장과 다양하게 소통하며 협력을 확대해 양질의 성과가 많이 창출되고 우리 디지털 사회 곳곳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