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재난 위험요소 발굴센터
‘알 스캐너’ 활용 탐색·분석
‘알 스캐너’ 활용 탐색·분석

[정보통신신문=김연균기자]
새로운 유형의 재난을 빅데이터로 미리 파악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 설치된 ‘신종재난 위험요소 발굴센터’가 이번 달부터 본격적으로 운영돼 신종 재난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발굴센터는 국민신고, 언론, 사회관계망서비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수집된 빅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전에 발생하지 않았던 일상 속 새로운 안전 위험요소를 발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위험요소를 찾기 위해 빅데이터에서 재난·안전 정보를 찾아주는 재난안전연구원 자체 개발 시스템인 ‘알 스캐너(R-Scanner)’를 활용해 국내 언론과 전문학술지 등 연구자료를 면밀하게 탐색·분석할 계획이다.
또한 재난안전 분야의 심층적인 위험요인은 분야별 전문가가 직접 발굴해 장차 미래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위험요소를 정리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재난안전 분야 내·외부 전문가로 ‘위험요소 평가·선정 위원회’를 구성해 재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위험요소에 대해서는 위험 발생 시나리오를 담은 보고서를 작성할 계획이다.
행정안전부는 발굴센터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발굴된 위험요소와 유사한 재난을 담당하는 재난관리주관기관에서 위험 해소를 위해 직접 관련 법령과 제도를 개선하도록 조치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정보통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