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6:55 (목)
[기자수첩] 조금만 더 빨랐다면
[기자수첩] 조금만 더 빨랐다면
  • 서유덕 기자
  • 승인 2023.04.14 18: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보통신신문=서유덕기자]

산림청은 지난 1월 ‘2023년도 전국 산불방지 종합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종합대책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산불 감시다. 산불 감지 센서나 인공지능(AI) 학습과 연계되는 지능형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을 이용해 연기·불꽃을 24시간 자동으로 감지하는 체계를 확립하겠다는 것이다.

지난해 대형 산불을 계기로 첨단 ICT를 접목한 산불 예방·진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전문가들 사이에서 꾸준히 제기돼왔다. 특히 그간 봄철에 집중됐던 산불이 최근 점점 연중·장기화하는 추세인 만큼, 관계자들은 24시간 365일 무인·자동 전천후 산불 감시가 가능한 지능형 CCTV에 주목한다. 이번 산불방지 종합대책에 ICT 활용 방안이 전격 반영된 것도 이 같은 의견에 따른 것이다.

산림청은 강원과 경북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산불 예방 ICT 플랫폼을 4개소 신설할 것이라고도 밝혔다. 이들 지역은 지난해 대규모 산불이 발생한 곳이다.

이처럼 취약 지점에 지능형 CCTV를 집중적으로 설치하면 산불 감시·대응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이런 당찬 계획이 무색하게, 올해도 산불이 잇따르며 우리 산림이 몸살을 앓고 있다.

이달 초 충남 홍성·당진·보령과 전북 고창, 서울 등 서부권에서 연쇄 발생한 산불은 3000ha가 넘는 임야를 불태웠다. 축구장(7140㎡) 4200개 수준에 달하는 면적이다. 11일 강릉 산불은 강풍에 급속도로 번지며 차마 대피하지 못한 인명까지 앗아갔다.

지난해에 이은 대규모 산불이 빈발하는 이 시점에서, ICT 융복합 재난 대응 체계가 조금만 더 빠르게 도입·확산됐다면 하는 아쉬움이 크다. 예를 들어, 주요 지점의 지능형 CCTV로 얻은 관측 자료를 AI로 자동 분석하면 항시 빈틈없는 산불 감시가 가능하다. 자동 경보로까지 연동하면 산불 발생 전 위험인자 인식·제거 및 소방 당국의 초동 조치가 용이해진다. 그러나 국내 산불 감시 대부분은 CCTV로 초기에 포착하기보다는 119 신고에 의존하고 있다.

산불은 충분히 예상되는 대형 재난이다. 지난해에는 공익적 가치 8374억원, 복구비용 2578억원, 입목피해 2030억원, 진화비용 467억원 등 1조3452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올해도 어김없이 큰 피해를 부르고 있다.

사회적 안전망 확보를 위한 ICT 융복합 재난 대응 체계의 도입은 발빠르게 이뤄져야 할 필요가 크다. 늦었다고 생각했을 때가 가장 빠르다는 말은 재난 대응에 찰떡이다.

최근 인천 강화도 마니산에서 난 불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열화상 드론을 활용한 야간진화 작업이 이뤄지는 등 고무적인 변화도 보였다. 원격으로 스프링클러를 작동해 진화 물질을 발포하는 무인 소방 시스템, 고열과 험지 등 사람의 활동이 어려운 환경에 투입할 수 있는 소방 로봇 등도 관계자들의 눈길을 끈다.

산불뿐만 아니라, 각종 재난재해에서 ICT 융복합 시스템의 기대 효과는 다양한 사례들을 토대로 가시화하고 있다.

4~5월이 지나고 7~8월이 오면 무더위와 태풍·호우 등 기상 악조건으로 인한 저지대 침수·토사 붕괴 사고가 예견된다. 관계 당국이 의지를 갖고 첨단 시스템 도입에 적극 나선다면 예상되는 인적·물적 피해를 충분히 예방하고 국민 안전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3-28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