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통신신문=박남수기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4일 ‘초거대 인공지능(AI) 시대, 개인정보 보호‧활용정책 및 기술 방향’을 주제로 제1회 '개인정보 기술포럼' 세미나를 개최했다.
'개인정보 기술포럼(이하 ‘기술포럼’)'은 데이터 경제 시대에 개인정보의보호와 안전한 활용을 뒷받침할 기반(인프라) 조성을 지원하고, 관련 산업 생태계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지난해 9월 출범했다.
정책분과·기술분과·표준화분과 등 3개 분과에 학계·산업계·연구기관 등 각계 전문가가 참여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기술포럼에서 개최하는 첫 번째 세미나로 인공지능(AI) 일상화 시대에 대응한 개인정보 처리 원칙과 정책 방향, 개인정보보호강화기술(Privacy Enhancing Technology, PET)의 현황과 과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
1부에서는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의 ‘국내외 인공지능(AI) 기술 및 정책 동향’ 소개를 시작으로, △여상수 목원대 교수가 ‘초거대 인공지능(AI) 시대, 개인정보 침해 이슈 및 보호 강화 방안’에 대해 발제하고, 이어 △김도엽태평양 변호사의 ‘초거대 인공지능(AI) 육성을 위한 안전한 데이터 활용 확대방안’과 △최대선 숭실대 교수의 ‘인공지능(AI) 대응 개인정보 보호기술및 표준화 현황’에 대한 발표가 이어졌다.
2부 종합토론에서는 염흥열 기술포럼 의장이 좌장을 맡았으며, 각계 분야별토론자를 중심으로 인공지능(AI) 개인정보 처리 특징과 개인정보 보호 원칙, 인공지능(AI) 학습 등을 위한 데이터 활용 기준, 신뢰 기반의 인공지능(AI) 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과 과제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양청삼 개인정보위 개인정보정책국장은 축사를 통해 “초거대 인공지능(AI)의등장으로 인공지능(AI)에 대한 기대와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공존하는 시점에서 금번 세미나는 의미있는 논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면서, “이번 세미나에서 제시된 정책 제언을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신뢰 기반의초거대 인공지능(AI)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제도적‧기술적인 개선 노력을해나가겠다” 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