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7:36 (금)
정보통신망 고도화 따라 공사업 다양화 될 듯
정보통신망 고도화 따라 공사업 다양화 될 듯
  • 한국정보통신
  • 승인 2002.05.11 14:02
  • 호수 113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정보통신공사 종류와 구성


유 무선 통합은 21세기 정보통신산업의 굵은 줄기다.
불과 10여년전만 하더라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통신서비스의 개념을 음성전화에만 국한시켰던 것에 비춰본다면 유선과 무선기술이 융합해 첨단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는 것은 정보통신 발전사에 큰 획을 그을 만한 일이다.

특히 음성위주의 정보통신망이 데이터 정보를 동시에 전달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접목돼 고도화되고 있는 것은 주목할만한 하다. 아울러 광대역의 다양한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동기식 광전송 장비 등 초고속 대용량의 정보통신장비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도 눈여겨 볼만한 부분이다.

이러한 거센 변화의 조류를 타고 정보통신공사업계도 전환기를 맞고 있다. 정보통신망의 디지털화와 고속화, 지능화가 빠른 속도로 확대되면서도 정보통신공사업도 지속적으로 다양화되고 세분화될 전망이다. 즉 통신선로 공사나 교환설비 공사로 대표되던 고전적 의미의 정보통신공사업이 무선기술을 아우르는 첨단산업으로 변모해 가고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 본지에서는 정보통신공사업의 현주소를 되돌아보고 향후 발전방향을 가늠하기 위해 현행 정보통신공사업법에 명시된 정보통신공사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여기에서 다루어지는 내용들은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가 발간한 ‘정보통신설비요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글싣는 순서 >

① 통신선로 설비 교환설비 공사
② 전송설비공사
③ 구내통신설비 공사 Ⅰ
④ 구내통신설비 공사 Ⅱ
⑤ 이동통신설비 위성통신 설비공사
⑥ 고정무선통신 설비 공사
⑦ 정비제어 보안 설비 공사
⑧ 정보망 설비공사 Ⅰ
⑨ 정보망 설비공사Ⅱ
⑩ 정보매체 설비공사
⑪ 항공 항만 통신 설비공사
⑫ 철도통신 신호설비 공사
⑬ 방송 설비 공사
⑭ 기타설비 공사




① 통신선로 설비 교환설비 공사


* 통신선로 설비 공사


ㅇ 통신구 설비 = 설비통신구는 케이블 전용의 지하도로서 대형 전화국 부근과 대도시의 주요선로 등과 같이 다수의 케이블이 모이는 장소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통신구 설비는 화재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보통 지하케이블을 포설하기 위해서는 관로를 매설하지만 관로수조가 많게되면 케이블의 포설, 접속, 수리 등의 작업이 곤란하기 때문에 관로수조가 일정한도를 초월하는 경우에 통신구를 설치하고 있다.

설비통신구는 케이블의 부설을 위해 전화국 상호간 또는 국내 맨홀과 관로 사이에 설치된 4m이상의 지하도 및 관로와 관로 사이에 설치한 10m 이상의 지하도를 말한다.
형태로서는 원형 통신구와 구형 통신구가 있다.


ㅁ 통신관로 설비 = 지하에 포설되는 케이블은 증가하는 전화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가장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계획에 따라 증설공사가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증설공사시마다 노면을 굴착해 케이블을 포설하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허용되지 않으며 경제적으로도 불리하다.
이 때문에 장래의 수요를 예상한 케이블 조수를 수용 가능하도록 그 통로를 미리 확보해 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매설되는 것이 관로 시설이다.

ㅁ 통신케이블의 설치 = 이 분야 공사에는 광섬유 및 동축케이블, 전주, 철탑, 배관, 단자한 등의 설치가 포함된다.
통신케이블은 일반적으로 휘다케이블 및 배선케이블, 인상케이블, 성단케이블, 동축케이블 등으로 구분된다.

ㅇ 휘다케이블 : 전화국에서 절체반까지의 케이블 또는 전화국에서 고정배선구역의 주배선점까지의 케이블을 말한다.

ㅇ 배선케이블 : 휘다케이블과 접속돼 접속단자함, 단자함 등을 취부하고 가입자로 배선하는 케이블을 말한다. 배선케이블에는 전주 등의 지지물을 사용해 가입자선로의 배선을 하는 가공배선 선로와 수공 등 지하설비를 사용해 가입자로 배선을 하는 지하배선 선로 등 2가지가 있다.

ㅇ 인상케이블 : 지하케이블에서 가공케이블로 올라가는 부분의 케이블을 말한다.

ㅇ 성단케이블 : 통신구 등에서 전화국 또는 중계소 등의 배선반으로 올라가는 케이블을 말한다.

ㅇ 동축케이블: 중심에 있는 구리 심선을 폴리에틸렌의 절연물로 감싸고 이를 다시 그물 모양의 외선으로 싼 다음 전체에 피복을 입힌 구조로 된 케이블이다. 직경은 0.4~1 인치이다. 절연체는 신호의 교란을 방지하고 외선을 그물모양으로 둘러싸 인접한 회선과의 차폐 역할을 한다.
용량이 커서 음성 회선 1만개를 동시에 보낼 수 있으며 장거리 전화망, 유선TV, 구내정보통신망(LAN) 등에 사용된다. 특히 LAN에서는 전송속도가 빠르고 용량이 커서 대부분의 LAN에서 이를 사용하고 있다.

ㅇ 광섬유 케이블 : 광섬유 케이블(OFC: Optical Fiber Cable)이란 통신 선로 시설에서 보다 좋은 품질의 회선을 서비스 할 수 있는 케이블로서 선로의 디지털화로 발전하기 위한 일익을 담당할 수 있으며, 대량의 정보를 원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는 시설이라고 말할 수 있다.

광섬유는 석영을 주원료서 만든 유리선으로서 실리카 등이 원료로 쓰인다. 직경이 머리카락 정도로 가늘기 때문에 취급과 포설이 용이하다.
광섬유는 내부에 빛을 전파하는 코어(core)와 진행하는 빛을 유리관 속에 가두는 역할을 하는 클래드(Clad), 그리고 코팅으로 구성된다.
광섬유를 통해 전기신호를 빛의 강약으로 변화시켜 전송하는 통신을 광통신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케이블은 구조와 용도에 따라 세분화된다. 최근의 구조별 기술동향을 보면 루브 튜브형과 리본슬롯트형이 업체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으며 용도별로는 주로 관로내네 포설하는 관로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ㅁ 교환설비 공사

ㅇ 공사의 내용 = 교환설비 공사는 전기통신회선을 제어, 접속해 회선상호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교환기와 그 부대설비에 관련된 공사를 말한다.
여기에는 △ISDN 및 전전자를 포함한 전자식 교환 설비 △자동식 교환 설비 △비동기식(ATM)설바 △가입자선로집중운용보전시스템 설비 △집단전화교환설비 △자동호분배장치 설비 △중앙과금장치설비 △신호망설비 △지능망설비 △통신처리장치 설비 △사설교환 설비(PABX) 등이 해당된다.

ㅇ 전자식 교환설비 = 교환방식에는 일반적으로 연결방식에 따라 수동식과 자동식이 있으며 수동식에는 자석식과 공전식이 있다. 그리고 자동식은 통화로에 사용하는 스위칭 소자에 따라 기계식과 전자식으로 구분된다.

기계식 자동교환기는 스트로우저식 자동교환기를 거쳐 크로스바식으로 바뀌고 국내에서는 EMD의 시대를 거치게 된다. 이어서 전자식 교환기가 등장했다. 기계식 자동교환기는 전기 기계적인 소자에 기초해 구성됐지만 고속의 반도체 소자의 출현으로 인해 전자식 교환방식이 가능하게 됐다. 컴퓨터와 트랜지스터의 개발은 교환기에도 기술혁신을 가져왔다.
1970년에 들어와서는 통화로계를 포함한 교환기의 모든 부분을 전자화한 전전자식 교환기가 등장해 오늘날의 교환기의 모습이 갖춰지게 된다.

ㅇ 비동기식 교환(ATM)설비
- Asynchronous Transfer Mode : 비동기 전송모드인 ATM은 데이터와 음성, 화상 트래픽을 패킷어 실어 전송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이다. ATM은 기존의 패킷 교환방식과 TDM의 장점을 접목시켜 만들어진 방식으로 전송할 정보가 있을 경우에만 데이터를 53바이트의 일정한 크키로 분할 해 프레임에 실어 전송한다.
이 53바이트의 셀은 5바이트의 헤더부분과 48바이트의 데이터 부분으로 나눠져 있으며 VPI 값을 통해 목적지 주소를 표현한다.
ATM은 물리적으로 연결된 접속구간에서 가상 채널이라는 논리적인 연결을 먼저하고 그 뒤에 셀을 통해 데이터를 보내게 된다.
이들 가상 채널들 중에서 목적지가 동일한 가상채널끼리 묶어 가상경로로 접속하고 스위칭한다.
ATM은 초기에 WAN을 위한 기술로 설계됐지만 LAN용 기술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광대역 종합 정보통신망이 실현됐을 때 가장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꼽히고 있다.

- Automated Teller Machine: 현금자동인출기로 불리는 ATM은 개인의 비밀 신분증명번호와 자기코드가 부착된 플라스틱 직불카드를 이용, 현금인출 등 24시간 은행과 거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비다.



ㅇ 사설교환 설비(PABX) = PABX(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는 기업체내에서 사용하는 전화용 스위치를 말한다. PABX는 유럽에서 사용하는 용어이고 PBX는 미국에서 주로 쓰이는 용어다.
PABX는 회사와 학교와 같이 내부의 통화량이 많은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통화망을 설치해 내부통화를 처리하고 공중전화망을 연결해 외부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전화 교환기이다.

구내 교환기의 내선 상호간의 통화접속이 자동식에 준한 교환기로서 내선애서 국선으로 발신 접속은 보통 자동식이지만 외부가입자와 내선가입자와의 접속은 중계대를 경유해 수동식에 의해 접속되거나 또는 착신 접속까지도 자동식인 것도 있다.

최근 디지털화된 구내교환기는 종전의 구내교환기 개념을 넘어 인텔리전트 구
내교환기 또는 통합 구내교환기라 불리는 새로운 기업내 정보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러 통신회선의 선택에 있어 최적의 루트를 선택해 최소의 전화요금을 들게 하는 통화요금 관리장치가 설정돼 있는가 하면 음성정보와 화상정보를 통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이 갖춰져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19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