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7:39 (화)
‘2011년 정보통신산업’ 주요 이슈
‘2011년 정보통신산업’ 주요 이슈
  • 정보통신신문
  • 승인 2011.12.27 09: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IT산업 무게중심 ‘디지털’서 ‘스마트’로 이동

 
스마트폰 2000만-LTE폰 100만 명 돌파
첨단기술 아이콘 ‘잡스’ 사망…경쟁 가열


2011년은 IT산업의 무게중심이 ‘디지털’에서 ‘스마트’로 옮겨 간 원년이 됐다.

모바일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원동력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각종 스마트기기는 경제·사회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변모시켰다.

글로벌 IT업계에도 커다란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특히 지난 8월 15일 구글의 모토로라 인수 발표는 글로벌 IT업계에 거대한 지각변동을 예고하는 신호탄이 됐다. 뛰어난 ‘하드웨어’의 힘으로 고성장의 고속도로를 달려온 우리나라의 산업모델은 ‘소프트웨어’ 파워의 거센 소용돌이에 휘말렸다.

미국 애플의 창업주인 스티브 잡스가 사망 소식도 큰 울림으로 다가왔다. 세계 IT업계의 첨단기술의 아이콘 스티브 잡스가 지난 10월 5일 세상을 떠나면서 세계 주요 기업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2011년을 보내며 IT산업의 주요 성과와 현안을 주요 분야별로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새해엔 각각의 정책·기술요소들이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해 더욱 견고한 선순환의 고리를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스마트폰 사용자 2000만 돌파

2009년 말 도입된 지 2년 만에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가 2000만을 돌파했다. 1500만 명을 돌파했던 지난 7월 이후 약 110일 만에 돌파했다.

국민 10명 중 4명이 스마트폰에 가입했고 경제활동인구 2500만 명 중 80%가 스마트폰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수치다.

과거 휴대폰이 음성통화 수단에 불과했던 반면 스마트폰은 다양한 사회, 문화적 편익을 주는 하나의 종합 문화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LTE 스마트폰 가입자가 100만 명을 돌파했다. 이통사들의 커버리지 확대 및 제조사의 전략 제품들이 출시되면 가입자 증가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근거리무선통신(NFC) 도입

최근 스마트폰 보급 확대에 힘입어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이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표준으로 떠오르고 있다.

NFC란 스마트폰 등 두 대 이상의 모바일 기기를 10cm이내로 접근시켜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을 말한다.

NFC 칩을 스마트폰에 적용할 경우 결체창구 단말기에 스마트폰을 접촉하거나 흔들면 바로 결제가 된다.

이용자 입장에선 여러 개의 신용카드를 번거롭게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 현재 신용카드가 차지하는 결제영역을 빠르게 대체해 나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제주도와 명동, 인천공항 등에 시범 NFC 서비스존이 운영되거나 구축되고 있어 2012년에는 약 30만개 이상 가맹점과 단말기에서 NFC 관련 기능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


애플창업자 ‘스티브 잡스’ 사망

스티브잡스가 56세의 나이로 올해 10월 5일(현지시간) 사망했다. 잡스는 지난 2003년 췌장암 수술과 2009년 간 이식 치료를 받으며 힘든 투병생활을 해왔다.

잡스는 ‘아이폰’으로 대표되는 스마트 기기 시장을 열었던 선구자다. 그는 곧바로 태블릿PC ‘아이패드’를 성공시키며 운영체제(OS) 기반의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경쟁력을 보여줬다.

잡스의 사망소식으로 인해 전 세계인들이 충격에 빠졌고 깊은 애도를 표하며 진심으로 안타까워했다.

현재 잡스가 사망하면서 애플의 향후 행보가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되고 있다.


삼성-애플 특허 공방

삼성전자와 애플의 특허 공방은 IT업계 핫이슈였다. 애플은 4월 처음 삼성전자에 특허 전쟁의 시작을 알렸다.

삼성전자에게 애플은 스마트폰·태블릿PC 분야의 경쟁이자 동시에 반도체·액정표시장치(LCD)를 공급하는 회사이기 때문에 특허 공방이 계속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8월 삼성전자 태블릿PC ‘갤럭시탭10.1’이 유럽 판매 금지를 당하기도 했다.


애플은 네덜란드에서도 삼성전자 갤럭시S 등 스마트폰을 판매금지 시키는 데 성공했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일본·이탈리아·네덜란드·독일 등 10개국에서 소송을 진행 중이다.

삼성전자와 애플이 특허 합의에 나설 것으로 예상도 나오고 있다.


제4 이통 사업자 선정 무산

와이브로를 기반의 제4이동통신 사업자 선정이 또다시 무산됐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6일 기간통신사업(와이브로) 허가를 신청한 한국모바일인터넷(KMI)과 인터넷스페이스(IST)를 허가대상법인으로 선정하지 않기로 의결했다.

4이통 사업자 선정 무산으로 이동통신 시장의 경쟁 활성화, 경쟁을 통한 요금인하, 통신장비 시장 활력 제공 등 제4이동통신 사업자의 등장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됐다.

또 기존 이동통신 3사의 독과점 구도도 앞으로 상당기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토종기술인 와이브로 보급 확대와 통신장비 시장 활성화라는 효과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MVNO 활성화 잰걸음

4이통 사업자 선정 무산으로 MVNO 사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 erator)’는 ‘가상통신망사업자’로 실제 통신 설비를 갖추지 않았지만 통신망을 빌려서 마치 이동통신사처럼 고객을 모집하는 사업자를 말한다.

20%이상 저렴한 요금으로 이동전화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를 갖고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선불카드로 시작한 MVNO의 성적표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최근 CJ헬로비전, KCT, 온세텔레콤 등이 가입자 유치에 나설 예정이다. 이와 함께 MVNO 업계에서는 내년에 실시될 예정인 휴대폰 블랙리스트제도에 대해 기대를 하고 있다.


주파수 경매 파장

주파수 경매제도가 처음 실시된 것도 IT 업계의 핫이슈였다. 결국 SK텔레콤이 4세대 이동통신의 '황금 주파수'로 불리는 1.8㎓ 대역을 차지했다.

KT가 1.8㎓ 대역에 대한 입찰을 포기함에 따라 SK텔레콤은 직전 최고 입찰가인 9950억 원에 1.8㎓ 대역을 차지했다.

1.8㎓ 대역에 대한 낙찰가는 경매 시초가 4450억원에서 갑절 이상 오른 것이다. KT는 1.8㎓ 대역을 포기하는 대신 800㎒ 대역을 최저 경쟁가격인 2610억원에 낙찰받았다.

경매에 매물로 나온 3개 주파수 대역 중에서 1.8㎓ 대역(20㎒폭)은 SK텔레콤에, 2.1㎓대역(20㎒폭)은 LG유플러스에, 800㎓ 대역(10㎒폭)은 KT에 각각 돌아갔다.


트래픽 홍수…주파수 부족 등 업계 골머리
클라우드·NFC 등 신기술 개발 ‘가속페달’


망중립성 문제 도마 위

망중립성 문제도 올 한해 도마위에 올랐다. 망 중립성(Network Neutrality)이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모든 트래픽은 내용과 유형, 서비스, 단말기 종류, 발신자, 수신자와 무관하게 동등하게 취급돼야 한다는 원칙을 뜻한다.

통신업계와 포털 및 제조사간의 마찰이 이어졌고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최근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하지만 모바일 인터넷전화, 스마트TV 등의 문제가 빠져 이에 대한 논란이 계속될 전망이다.


전자정부 수출 2억 달러 돌파

올해 우리나라의 전자정부 해외수출이 전년대비 58% 증가한 2억 3566만 달러를 달성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베트남 정부데이터센터(1억 달러), 모잠비크 재난관리정보화시스템(2500만 달러), 도미니카 공화국 출입국관리시스템(2500만 달러), 에콰도르 전자통관 싱글윈도우즈(1582만 달러), 인도네시아 경찰 무선통신망 구축(4000만 달러), 멕시코 정보보안컨설팅(200만 달러) 등 총 2억 3566만 달러의 수출 성과를 올렸다.

2002년 10만 달러에 불과했던 전자 정부 수출액이 10년이 지난 올해 2억 3566만 달러로 2300배로 늘어났다. 전자정부 수출을 본격적으로 추진한 현 정부 출범 초인 2008년(2732만 달러)의 실적과 비교해도 8.6배로 대폭 증가했다.


공공 SW사업 관련제도 개선

공공 SW사업 분야에서 다양한 제도 개선이 이뤄졌다.

지식경제부는 공공 SW사업에서 불합리한 하도급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SW사업 하도급계약의 적정성 판단기준’을 개정·고시하고 내년 6월부터 시행한다.

고시에 따라 수주기업은 공공 SW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하도급 할 때 국가기관 등 발주
기관으로부터 사업수행실적·대금지급방식 등을 검토 받은 뒤 하도급 승인여부가 결정된다.

해당 고시를 살펴보면 공공SW사업의 부실화를 방지하고 하도급 사전승인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도급 금액의 적정성' 판단항목이 신설된다.

또한 하도급 투입인력에 대한 관련법 준수여부를 확인해 고용안정을 도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하도급 인력의 근로자파견사업 허가업체 소속, 고용보험 가입 등을 사전 점검해 SW개발자의 불법파견을 막고 기본적인 근로환경 보장을 유도한다.


SW공제사업 보증수수료도 내렸다.

지경부는 소프트웨어공제조합 공제사업 중 이행보증과 관련된 수수료를 평균 15% 인하했다. 이번 인하는 경제 환경 급변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SW사업자의 금융비용 부담을 덜어 주고자 추진됐다.

지경부는 앞으로 소프트웨어공제조합을 이용하는 SW기업의 경영과 재무건전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SW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간 다는 방침이다.

 

폭증하는 트래픽 분산 ‘골머리’

올해는 각종 스마트기기의 대중화 원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이로 인한 데이터 트래픽 폭증은 IT자원 부족과 주파수 부족 현상 등 통신업계의 심각한 문제로 대두됐다.

트래픽 수요와 비례해 IT자원을 늘리기엔 막대한 비용이 수반돼 이를 커버할 수 있는 각종 신기술이 상용망에 도입됐다.

클라우드 방식의 기지국 설계는 비용효율을 고려해야 하는 통신사업자에게 필수 요건이 됐다.

기지국을 디지털 신호처리와 자원관리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유닛(DU: Digital Unit)과 기지국의 무선 신호처리 부문의 전파신호를 증폭해 안테나로 방사하는 라디오유닛(RU: Radio Unit)으로 분리해 각각을 하나로 묶는 방식이다.

DU는 인터넷 데이터센터(IDC)에서 집중관리하고 서비스 대상 지역에는 RU만 설치함으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지상파 방송이 디지털로 전환함으로써 발생될 유휴주파수 대역을 활용한 기술도 주목받았다.

소위 ‘TV 화이트스페이스(TVWS)’라고 불리는 이 대역은 넓은 지역을 하나의 와이파이 존으로 커버하는 ‘슈퍼 와이파이’를 실현할 수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국내 최초로 이를 이용한 실험서비스를 제주에서 시작했다.

올레길 7코스 외돌개 주변의 관광정보, 맛집, 탐방 소요 시간 등의 정보와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지역주민, 관광객들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소방방재청은 본 대역을 지하재난영상전송 서비스에 이용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건물 및 터널 붕괴와 같은 지하매몰 붕괴 현장에서 전파특성이 뛰어난 TV유휴대역을 이용해 지하현장의 영상정보를 지휘통제소에 전송하는 등 구조활동에 활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트래픽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P2P 트래픽을 제어하는 기술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트래픽 지역화 기술은 여러 네트워크의 특성을 고려해 콘텐츠 전달에 최적화된 피어를 선택함으로써 최적 피어로부터 콘텐츠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대표적인 기술 중 하나인 ALTO는 네트워크 사업자가 응용계층에서 발생되는 트래픽을 네트워크 사업자의 정책에 맞춰 제어한다.

네트워크 사업자는 트래픽을 지역화시킴으로써 백본을 통하는 트래픽을 저감시키고, 콘텐츠 공급자는 별도의 대형 서버 구축없이 분산된 캐싱 서버를 사용함으로써 서버 구축과 운영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 다른 트래픽 지역화 기술인 P4P는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ISP 내에 구축하고, 해당 서버와 트래커 간의 통신을 통해 ISP의 네트워크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트래픽 지역화를 이뤄낸다.


국산 방송장비 인지도 높이기 ‘안간힘’

‘IT강국 코리아’의 위상과 달리, 국산 장비 제조업체들의 열악한 시장 상황은 올해도 계속됐다.

방송장비 업체들은 수요처로부터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방송사를 대상으로 한 신기술 설명회를 꾸준히 개최하는 등 국산 제품 알리기에 총력을 기울였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일고 있는 디지털방송 전환 붐을 맞아 국내외 전시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해외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했다.

지난 6월 국내에서 열린 ‘KOBA 2011’ 전시회와 함께 싱가포르, 베이징 등 국제 방송장비 전시회에서 국산 제품의 우수성을 알렸다.

방송사 외 공공기관, 공연장, 교회 등 비방송사 부문의 장비 공급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방송사의 경우, 국내 업체와의 연계 및 정보 부족으로 외산 장비를 사용하는 사례가 많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비방송사의 외산장비 도입비율은 70%에 달해, 실수요자를 직접 겨냥한 홍보에 나서야 된다는 설명이다.


최저가낙찰제 확대 2년 유예

정보통신·전기공사업계 및 건설업계 등의 강한 반발을 불러 일으켰던 최저가낙찰제 확대 시기가 2년 뒤로 미뤄졌다.

정부는 당초 내년 1월 1일부터 최저가낙찰제 적용대상을 300억 원 이상 공공공사에서 100억 원 이상 공사로 확대할 예정이었으나 건설경기 침체, 지역·중소업체의 어려움 등을 감안해 시행시기를 2년간 늦추기로 했다.

정부는 최저가낙찰제 확대 시기에 변함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으나 관련업계는 △총생애주기 측면에서의 정부예산 낭비 △부실시공 △일자리 감소 △산업재해 증가 △지역건설산업기반 붕괴 등의 부작용을 우려하며 크게 반발했다.

이와 관련, 대한건설단체총연합회와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공제조합, 한국전기공사협회 등 관련단체들은 정부 주요기관에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 최저가낙찰제 확대 저지를 위해 총력을 기울였다.

결국 정부는 고심 끝에 최저가낙찰제 확대 시행을 2년간 유예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국가계약법 시행령 개정안을 지난 14일 입법예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23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