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5 17:39 (목)
광케이블 포설공법 "더 쉽고 빠르게"
광케이블 포설공법 "더 쉽고 빠르게"
  • 한국정보통신
  • 승인 2002.03.16 09:46
  • 호수 113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터넷 이용자들의 전송 데이터 양과 속도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광케이블을 직접 댁내망에 연결하는 것은 빠른 속도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이것이 어렵다면 최대한 댁내망과 가까운 곳까지 광케이블을 끌어와야 한다.
현재 FTTH(Fiber to the Home) 개념을 넘어 FITH(Fiber in the Home)라는 신개념이 등장하고 있긴 하지만 아직도 이를 완벽하게 실현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 포설 구간은 길기만 하다. 그렇다면 결국 광케이블 포설을 쉽고 경제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야 하는데 이에 대한 대안으로 BOF, ABF, PMD 등의 신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15일 열린 기술설명회에서 소개된 BOF 및 PMD 기술을 중심으로 효과적인 광 케이블 포설 공법에 대해 살펴봤다.

# BOF - 경제적 광선로 구축의 초적 대안

BOF(Blown Optical Fiber)기술은 기체의 압력차를 이용해 플라스틱 또는 금속 튜브 내부로 집합 광섬유(fiber bundle)를 불어넣어 포설하는 기술을 한다. BOF 기술을 이용하면 종전의 방식보다 더욱 경제적으로 광선로를 구축할 수 있어 광가입자망과 구내 광통신망의 보급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

□ 기술개요= 직경 3.5∼6mm 정도의 광튜브 내부로 공기압을 이용해 집합 광섬유를 포설한다. 공기압으로 광섬유를 튜브 내부로 진행시키는 경우에는 포설이 이뤄지는 전구간에 대해 균일한 포설 장력이 가해지므로 광섬유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광케이블을 가능한 장거리로 포설하여 접속점을 줄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광섬유 접속점은 통상 0.05∼0.1dB 정도의 손실을 발생시키며 접속점을 설치하는데 따른 비용과 시간의 손실을 가져온다.
또한 수분은 광섬유의 전송특성과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는 가장 큰 원인인데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의 접속점에서 수분의 침투가 가장 용이하므로 접속점은 광선로의 신뢰성 측면에서 취약한 곳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광케이블의 장거리 포설은 광섬유 접속점이 줄어들게 되므로 망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망구축 투자비를 절감하게 되므로 매우 바람직하다.

□ 특징과 장점 = BOF의 경우 초기망 구축시 수용구역을 따라 광튜브 케이블만을 포설하고 현재 발생되는 수요만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향후 발생되는 수요에 대해서는 비어있는 광튜브를 통해 추가로 광 집합 광섬유를 포설, 공급할 수 있다.
가입자까지의 광튜브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는 기존에 공급돼 있는 낮은 심선수의 집합 광케이블을 철거하고 다수의 다심의 집합 광섬유를 공급함으로써 손쉽게 추가 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광선모망 구축에 소요되는 막대한 초기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잘못된 수요 예측에 따른 투자실패의 위험성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적용 방법과 망 구성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BOF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일반 광케이블 망 대비 20∼50%의 투자비로써 초기 수요를 감당할 수 있다.
아울러 BOF에서는 광튜브가 튜브 커넥터로 접속돼 있으므로 물침투가 발생해도 튜브 내부의 광섬유에는 수분의 침투가 발생하지 않는다.
유지 보수면에서도 BOF는 접속점이 생기지 않으므로 사고 이전과 동일한 수준으로 광경로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의 광섬유 접속이 없으므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다. 일반 광케이블의 복구 상황과 비교해 20∼30% 정도의 비용 및 시간의 절감이 가능하다.

□ 구내 통신망에의 적응 = BOF 기술은 현재의 수요만을 공급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으므로 수요변동이 잦은 구내 통신망에도 매우 적합하다.
BOF는 구내 공간에서 새로운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 주장비실(ER), 층장비실(TC) 등 광튜브 케이블의 분기 접속점에서 튜브의 경로를 재구성한 다음 집합 광섬유를 공급하게 되므로 신속한 망구성과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파트 등 주거용 건물의 경우에도 BOF를 적용하면 매우 효과적으로 광통신망을 구축할 수 잇다. 특히 아파트의 강 동까지를 광LAN으로 구성해 망을 형성하는 경우 FTTH로의 전환은 동 단자함에서 세대 단자함으로의 튜브 접속과 광 섬유만으로 가능하므로 배선 시설의 개체와 신규 투자에 따른 비용의 절감이 가능해 진다.

# ABF - 최단시간, 최소비용 작업 가능

ABF(Air Blown Flber)는 영국의 BT(British Telecom)에서 지난 83년에 개발한 광 케이블 설치 기술로 이미 설치 된 광 튜브 케이블(Tube Cable)에 압축된 공기압으로 작은 Fiber Unit을 불어 넣는 방법이다.

ABF의 핵심은 압축공기나 건조질소를 이용해 튜브 케이블에 집합 광섬유(fiber Bundle)을 불어서 포설하는데 있다. 특히 여기서 Fiber Unit은 싱글 모드50/125m나 멀티 모드62.5/125m로써 2개에서 18개의 광섬유들로 구성할 수 있어 수요에 따라 상황에 맞게 대응할 수 있다.

□ 기술개요 = 6심 ABF Fiber Unit 외부지름이 2mm이고, 18심 Fiber Unit은 외부지름이 3mm다. ABF 백본은 처음 설치할 때 요구되는 것보다 많은 Cell을 포함한 튜브케이블로 구성된다.
튜브케이블 Cell들은 간단한 Push-Fit Connector로 TDU(튜브 분배 유니트)들과 연결하게 되는데 TDU는 새로운 위치부터 TDU사이에 튜브 케이블 Cell을 확장해 필요한 튜브 케이블 Cell들을 ABF 백본에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케 된다.
FTU(Fiber termination unit)들은 ABF하부구조와 서버들, 컴퓨터들, 다른 네트워크과 연결된 광섬유 점퍼들 사이의 접합을 제공한다. Fiber Unit은 1분당 최고 45.72m의 속도, 네트워크의 환경에 따라 융착 접속이 없이 1828.8m까지 튜브 케이블에 불어서 설치할 수 있으며 상황 변화시에는 fiber Bundle을 튜브 케이블 Cell 밖으로 불어서 배출하면 된다.

특히 제거된 fiber Bundle은 포설, 설치 시에 손상이 없으면 재사용이 가능하며 대부분 조건에서 ABF시스템을 설치하는데 2명의 설치자만 필요해 인력 비용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 ABF의 장점 = ABF의 가장 큰 장점은 유연성(Flexibility)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네트워크(가입자 망)의 수요에 따라 네트워크 확장과 재 설치가 쉽고, 전송로의 증설, 교환이 쉬워 단시간내에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광섬유 설치 시 장력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신뢰성이 높으며 공기압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Fiber Unit에 손상을 거의 주지 않는다. 융착 접속의 감소로 손실값 역시 감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설치시간이 짧아 인건비가 적게 들고 높은 신뢰성에 의한 진행에 따라 Fiber 설치 작업이 쉬워 실용성 또한 뛰어나다.

네트워크(가입자 망) 확장을 위한 여분 광섬유를 설치 할 필요가 없으므로 초기 시설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지점과 지점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Fiber간 접속 점이 적어서 종합 건설비용이 융착 접속시 보다 1/3로 줄일 수 있는 등 경제성도 우수하고, 무엇보다 설치가 쉽고 빠르다.

# PMD - 10Gbps 광전송로 평가 기술

PMD(Polarization Mode Disperation)는 광섬유가 갖고 있는 기본적인 성질중의 하나로서 색 분산(Chromatic disperation)과 함께 광전송시스템의 성능과 거리에 절대적을 영향을 준다. PMD기술은 광전송로의 품질을 평가하는 기술로서 주로 10Gbps 이상의 광전송선로를 평가하는데 이용된다.
이번에 선보인 PMD 측정기 뛰어난 정확성을 자랑한다. 특히 전원장치를 탑재해 휴대가 가능하며 원격에서도 조정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25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