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6 22:48 (화)
김도경 아카데미정보통신 이사
김도경 아카데미정보통신 이사
  • 정보통신신문
  • 승인 2015.04.16 19: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 기고)글로벌 사업 환경에서 ‘메이드인코리아’의 정체성
 
매년 봄이면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는 각종 전시회로 도시전체가 몸살을 앓는다.

비디오, 오디오산업관련 전시회를 시작으로 각종 소비재상품들의 총아인 캔툰페어(Canton Fair)에 전세계에서 몰려온 바이어들로 도시 전체는 뜨거운 열기를 뿜어낸다. 수많은 인파와 거대한 전시규모는 물론이거니와 역동적이고 생동감 넘치는 사업 환경에는 그저 부러움만 따를 뿐이다.

지리적, 문화적 이점과 더불어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는 중국내수시장에 대한 매력은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느끼는 사항이지만 정작 이 매력덩어리의 마음을 어떻게 잘 훔쳐낼까에 대한 고민은 그리 녹녹하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특히 ICT 산업의 중국시장 점령은 국내 몇몇 대기업을 제외하곤 중소기업의 입장에선 속된말로 넘사벽(넘지 못할 벽)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미 우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개발, 생산경쟁력을 갖춘 중국기업들의 역량을 잘 이용해서 국내시장에서의 자체 사업경쟁력 구축에 매진하는 식견을 터득한 정도라면 그나마 앞서 간다고 말할 수 있으니 말이다.

국내시장에는 앞서가는 이런 한국인들의 지혜(?)가 무작정 ‘메이드인코리아’로 둔갑되어 소비자들에게 전달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그래서인지 요즘은 ‘메이드인코리아’의 적절한 범주가 어디까지인가에 대한 격론도 심심치 않다.

제도적 기반이 허실하니 잣대의 성립도 모호하다. 설사 국내에서 100% 모든 생산을 진행한다 하더라도 상당수의 부품들은 ‘메이드인차이나’로 구성될 수 밖에 없는 난감함에 직면하기도 한다. 최소한 50%, 60% 이상 국내산 부품을 사용하면 ‘메이드인코리아’가 아닌가 하는 단순한 정량적 평가도 설득력이 없어 보인다.

이 시점에서 그렇다면 한번쯤 ‘메이드인코리아’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을 해 보아야 할 것 같다.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이 부분에 대한 해답은 아주 간단하다.

어떤 제품을 기획하고, 개발하여, 생산하고, 마케팅과 영업, 그리고 판매에 대한 모든 진행과 통제에 대한 권한을 국내업체가 가진다면 이 제품은 분명 ‘메이드인코리아’다.

사전적 의미로 따진다면 ‘메이드인코리아’는 반드시 대한민국 영토 내에서 제품의 생산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지만, 좀 더 포괄적, 실질적 의미에서 ‘메이드인코리아’는 이 제품의 주인은 한국기업이냐, 외국기업이냐에 대한 판단으로 귀결될 수 있다.

특히 기업의 공통적 소명이 소비자들에게 좀 더 경제적이고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공급하는데 있다면 이 제품의 개발, 생산, 판매과정에서 가장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길을 선택하는 것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한류가 중국인들의 삶에 깊숙이 파고들었고 현재도 한국에서 날아오는 거부할 수 없는 문화콘텐츠 폭격에 중국정부와 중국인들은 신음하고 있지만 달리 어떤 대응책이 뚜렷해보이진 않는다.

환경은 다르지만 국내 ICT업계도 이제는 자사의 개발 제품들에 강력한 한류를 심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제품의 기획과 개발, 엔지니어링, 그리고 마케팅 등에 대해 주된 역량을 집중하고 관련 인력육성과 인프라 구축에 최대한의 관심과 투자를 하는 것이 글로벌 사업 환경에서 ‘메이드인코리아’의 정체성을 되찾는 길이 될 것이다.

외국기업들과의 만남에서 중국정부의 총리 ‘리커창’은 ‘메이드인(in)차이나’ 혹은 ‘메이드포(for)차이나’ 대신, 앞으로 ‘메이드위드(with)차이나’를 표방해 달라는 부탁으로 중국정부의 목소리를 전달하였다고 한다. 같은 맥락에서 이해되어질 수 있는 내용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16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