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6:55 (목)
저작권 못잖게 사용자 권리도 종중돼야
저작권 못잖게 사용자 권리도 종중돼야
  • 한국정보통신
  • 승인 2001.03.10 10:07
  • 호수 113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P2P서비스는 저작권보호도 중요하겠지만 사용자들의 사용권도 존중돼야 합니다. 또 P2P서비스사업자의 수익성이 우선 보장돼야 P2P산업이 꽃을 피울 수 있을 겁니다" 현재 국내에서 음악파일P2P(Peer to Peer)서비스인 소리바다 등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P2P서비스에 대해 한국P2P협회 신임회장으로 선임된 엔위즈 정철흠 사장이 던진 말이다.
정 사장은 또 "한국P2P협회의 공식적인 입장은 현재 P2P업체들의 서비스를 지속하면서 차후 유료화를 논의한다는 방침"이라며 "무조건 P2P사이트를 폐쇄하고 유료화방안을 논의하자는 한국음반산업협회의 주장은 P2P산업자체를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정 사장은 P2P를 적용해 할 수 있는 이상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지식관리시스템(KMS)과 접목한 P2P솔루션과 전자상거래에 P2P를 가미한 P2P서비스사업 등을 꼽는다. 반면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미국의 냅스터나 국내의 소리바다 등의 디지털컨텐츠유통사업은 유료화라는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이외에도 협업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화상회의솔루션과 개인방송국이나 온라인광고솔루션 등에도 P2P가 적용가능 하다고 말한다.
"기업이 P2P를 활용한 업무를 할 때는 방화벽이 대부분 이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안에 대한 부분보다는 오히려 권한관리에 대한 부분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정 사장은 P2P가 보안문제에 있어 해킹이나 네트워크의 부하을 증가시킨다는 사람들의 생각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또 "P2P는 기술적인 부분이나 효용성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검증이 되었다"며 "이제는 권한관리나 저작권, 트래킹(tracking) 등의 기능이 강화 될 것"이라고 덧붙인다.
하지만 미국의 '그누텔라'와 같은 서비스의 경우는 서버가 없는 형식이라 네트워크의 트래픽(Traffic)을 혼란시킬 우려가 있다며 서버를 통한 P2P서비스모델은 별 문제가 없다고 설명한다.
정 사장은 현재 인텔이나 HP 등 외국업체가 추진하고 있는 P2P표준화는 반 인텔세력을 감안한다면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며 유럽과 미국 한국을 3대 축으로 형성된 세계P2P시장에서 한국이 P2P의 시험무대가 된다면 국내P2P시장이 훨씬 커질 것으로 전망한다.
정 사장은 현재 미국에서 하드디스크공유와 같은 P2P부문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CPU공유와 같은 서비스에서는 수익성은 아직 미미한 편이라고 말한다.
아울러 국내에서 P2P가 이렇게 급성장 하게된 배경은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안이라는 점과 효용성 그리고 공급자가 우선 된 경우가 아닌 사람들의 수요가 먼저 있었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또 정부는 65억원의 기금을 마련, 정책세미나를 통해 우선 시범서비스 사업으로 10∼20억원을 정도를 투입해 유료화방법과 P2P사업에 대한 가능성을 시험해 볼 계획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부차원의 지원도 P2P사업의 전망을 밝게 해주고 있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3-28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