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6:55 (목)
무인이동체·VR 새 판 짜기 돌입
무인이동체·VR 새 판 짜기 돌입
  • 차종환 기자
  • 승인 2016.07.08 1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인이동체] 육·해·공 통합 접근…안전제도 정비
[VR] 400억 전문펀드 조성·R&D 세액공제

신성장동력으로 평가받는 무인이동체, 가상현실(VR) 산업에 대한 정부의 새 판 짜기가 시작됐다.

그간 성장잠재력에 비해 각종 규제, 법·제도의 미비 등으로 추진력을 얻지 못했던 산업계가 기지개를 켤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무인이동체 = 정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무인이동체 산업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2016~2020)’을 수립해 제13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서 심의‧확정했다.

본 계획은 글로벌 무인이동체 산업 강국 실현이라는 비전하에 국제기술력 순위 제고, 국내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3대 전략 및 11대 과제를 제시했다.

세부 내용을 살펴보면, 우선 무인이동체에 대한 통합적 접근으로 효율성을 제고한다.

선진국은 보다 효율적인 발전을 위해 육·해·공 무인이동체 통합운영 시스템과 통합로드맵 등 통합적 발전전략을 추진 중이다. 무인이동체 시장에 뒤늦게 뛰어든 우리나라도 육·해·공 통합적 접근을 통해 공통기술(센서, 항법, 통신, 운용SW 등)을 개발·확산하고 공통기술 기반 무인시스템 전문기업 육성을 추진한다.

시스템 SW 및 네트워크, 센서, 소재 등 무인이동체 간 공통으로 활용 가능한 기술 개발을 위해 민간에서 요구하는 공통기술 및 지능화 기술 개발, 다부처 참여 프로젝트 등을 추진한다.

해외 주요 선도기업에 비해 경쟁력이 부족한 핵심부품 분야의 국산화를 지원하기 위해, 핵심부품 및 기반기술 개발, 중소기업 지원조직 운영, 통합 SW 플랫폼 개발 및 보급 등을 추진한다.

무인이동체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소형무인기 기체 안전성 향상, 다수의 드론을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드론 교통관리모델 개발 등 기술개발과 함께 안전제도를 정비하고 드론 사용자 대상 교육‧홍보를 강화한다.

5G 통신망, ICT 기술 등 우리가 가진 장점을 활용해 무인이동체의 성능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글로벌 테스트베드 환경을 제공하고, 드론 레이싱 등 국제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아울러 무인이동체 분야별로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실증공간, 주파수, 법·제도적 뒷받침, 규제완화 등 무인 전문기업이 출현·성장할 수 있는 산업 생태계 조성을 추진한다.

무인기 분야는 △수요기반 기술개발 지원, 농업용 무인기 개발, 틸트로터 상용화, 고고도 무인기 제작‧시험 △신규 활용분야 발굴 및 안전성 검증 등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 시험인프라 확충, 정밀지도 구축 △소형무인기 통신용 비면허 주파수 추가확보 △소형무인기 사업 범위의 네거티브 방식 전환 △조종인력 양성, 경진대회 개최 등을 추진한다.

자율주행자동차 분야는 △8대 핵심부품, 개방형 SW 플랫폼, 자율협력주행 기술, 교통센터 기술 등의 기술개발 지원 △시범도로 테스트베드 구축, 자율주행 지원도로 전국 확대, 실험도시 조기 구축, 정밀위치정보 제공, 평창올림픽 시범운행 등의 인프라 확충 △차량 간, 차량-인프라 간 전용주파수 확보 등의 주파수 분배 및 기준 마련 △시험운행 허가요건 완화를 통한 법·제도 개선 △전문인력 양성, 자동차-IT산업 간 네트워크 활성화 등을 통한 인력 및 저변 확대를 추진한다.

무인 농기계 분야는 농업생산시스템 과학화 및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무인제초기 실용화, 정밀농업시스템 개발 △과학영농시범단지 조성, 무인자동화 연구센터 활성화 △첨단농기계 방제‧시비 작업 검정기준 마련 등을 추진한다.

무인 수중이동체 및 무인선 분야는 △수중이동체 핵심기술 개발 및 실해역 검증, 다목적 소형 무인선 시스템 개발 △전용수역 조성, 시험지원선 타당성 검토 △무인선용 통신 주파수 분배 △무인선 인증 및 운항을 위한 제도 정비 △전문인력 양성, 경진대회 개최에 나선다.

□ 가상현실(VR) = 정부는 제10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발표한 ‘투자활성화 대책’을 통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가상현실 산업 육성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우선, 가상현실 신시장 창출 및 확산을 위해 다양한 R&D와 콘텐츠 제작을 유도하기 위한 마중물을 정부가 지원하고, 민간 중심의 신시장 창출 및 확산을 돕는다는 계획이다.

현재 VR게임, VR테마파크 등을 중심으로 추진 중인 가상현실 선도 프로젝트를 2017년부터는 건축, 교육, 의료 등으로 확대해 가상현실 초기 생태계 조성을 유도한다.

또한, 문체부와 미래부를 중심으로 게임, 영화, 방송, 테마파크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 장르와 스포츠 및 관광 분야에 VR을 적용한 콘텐츠 제작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수송‧의료 등의 가상훈련시스템 공통 플랫폼을 개발하는 등 산업 분야의 R&D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

상암 DMC를 산업 육성의 거점으로 조성해 입주, 인프라, 기술, 인력양성 등 지원기능을 집적하고, 서울 VR페스티벌 개최 등을 통해 글로벌 진출역량을 강화한다.

VR관련 촬영·제작·개발장비, 중계시스템 등 인프라를 확충해 입주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디지털파빌리온에 우수한 콘텐츠 및 R&D결과물 등을 상설전시 및 후속개발을 지원한다.

아울러 가상현실 분야 중소콘텐츠기업들의 시장진입을 촉진하기 위한 투자 생태계를 마련하고, 안전한 이용환경 및 대중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 등을 지원한다.

400억 원 규모의 ‘가상현실 전문펀드’를 조성하는 한편, 신성장 R&D세액공제(최대 30%) 대상에 VR기술을 추가, VR분야에 대한 기업들이 R&D 투자를 촉진시킨다는 계획이다.

VR콘텐츠 이용 시 발생 가능한 어지러움 등 VR콘텐츠의 인체영향 연구를 통해 안전한 이용환경을 조성하고, 개발자 대회 등을 통해 VR 인디개발자 및 스타트업 등 생태계 조성을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관계부처가 협력해 VR 분야 신시장‧신산업 창출에 필요한 애로사항을 지속적으로 수렴해 국내 업체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3-28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