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15:12 (금)
넘치는 공공 와이파이…사용성 높이고 수익모델 찾아야
넘치는 공공 와이파이…사용성 높이고 수익모델 찾아야
  • 차종환 기자
  • 승인 2019.05.06 10: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 AP 30만 시대…버스도 동참

접속불편∙인터넷 품질 불량 여전

투자 대비 적은 사용자 ’세금낭비’

광고플랫폼 등 선순환 구조 절실
공공 와이파이 운영에 수익모델 확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사진=KT]
공공 와이파이 운영에 수익모델 확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사진=KT]

공공 와이파이의 구축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떨어지는 접속품질과 묘연한 수익모델 창출이 도마 위에 올랐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에 따르면, 2012년부터 정부∙지자체 등 공공기관이 구축·개방한 공공 와이파이 AP는 총 30만여대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에 더해, 최근 16개 지자체가 전국 시내버스 4200여대에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올 연말까지는 전국 약 2만4000대 버스가 공공 와이파이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처럼, 늘어만 가는 공공 와이파이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시선은 그리 달갑지 못 하다. 정작 와이파이를 사용하려고 할 때 이어지는 불편함과 AP에 접속하더라도 끊기기 일쑤인 것이 소비자의 눈높이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가장 최근 서비스를 시작한 버스 와이파이만 보더라도 이러한 불편은 거의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사업을 주도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차 일단 공공 와이파이 홍보스티커가 부착된 버스여야 하며 탑승 후 특정 식별자(SSID)로 접속하라고 공지하고 있다. 자동으로 접속되는 것이 아닌, 일정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얘기다.

보안이 강화된 와이파이가 따로 제공되는데 이 역시 특정 SSID로 접속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 SSID는 비밀번호까지 입력해야 한다. 접속절차도 번거로운데 비밀번호까지 입력하라고 하니 스마트폰을 잘 다루지 못하는 사용자는 난감할 수밖에 없다. 이에 더해 비밀번호가 무언지 사용자가 알 리도 없고 어디에 적혀 있는지도 알 수 없다.

일각에선 버스 이용자의 행태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전시행정이라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버스는 한번에 보통 10~30분 정도 이용하는 사람이 많은데 일부러 와이파이까지 접속해 이용하는 사람은 드물다는 지적이다. 30분 이상 장거리 이동에는 지하철을 많이 이용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지금과 같이 접속 과정에 시간이 많이 소비될 경우, 버스에서 이용시간은 더욱 짧아질 수밖에 없다.

와이파이에 접속했더라도 원활한 인터넷 사용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각 커뮤니티 사이트에는 버스 와이파이가 안 터진다는 네티즌들의 후기가 쇄도하고 있다.

여타 공공기관, 전통시장, 공원 등 고정된 장소에서 제공되는 공공 와이파이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 고정형 와이파이의 경우 보안 위협이 더욱 가중된다.

전문가들은 공공 와이파이는 불특정다수의 접속이 주를 이루는 만큼 보안대책이 더욱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암호설정 부분조차 공장출하 암호 그대로인 경우가 대부분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불안감을 떨칠 수 없는 사용자들은 접속을 꺼릴 수밖에 없다.

이처럼 사용성이 떨어지는 공공 와이파이는 세금 낭비 논란에 자유롭지 못 하다.

버스 공공 와이파이 사업에만 해도 총 455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이다. 구축 이후 회선료, 전기료, AP 유지보수 등 지속적으로 들어가는 비용은 별개다.

업계는 공공 와이파이가 단지 사용자에게 무료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킬러서비스를 통한 수익모델 발굴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가장 유력한 것은 광고 플랫폼으로의 활용이다.

와이파이 접속시 공익 광고를 표출하거나 해당 지자체의 민원 안내, 공지사항, 축제 등의 시정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이 힘을 얻고 있다. 예로, 충남 서천군의 경우 버스 와이파이를 버스정보시스템(BIS)과 연동해 영상 옥외광고를 띄워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의 공공 와이파이는 구축은 할 테니 사용은 알아서 하라는 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들인 비용이 많음에도 사용자들의 불편이 끊이지 않고 있다”며 “수익모델 창출을 통해 공공 와이파이가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돼야 관리비용도 줄이고 운영주체도 관심을 가지고 지속적인 환경 개선에 주력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3-29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