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의 주출제한 조치가 국내 중소기업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은 어느정도일까?
삼성, SK, LG 등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래처 다변화에 취약한 중소기업들은 대부분 대안이 없다.
지난달 중소기업중앙회가 일본의 수출제한조치와 관련된 중소 제조업체 269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일본 정부 수출규제를 6개월 이내로만 견딜 수 있다고 답한 비율이 59%에 달했다.
수출규제에 대한 자체 대응책을 묻는 질문에 대응책이 없다는 응답이 46.8%로 가장 많았다. 대다수 중소기업이 현 상황에 대처할 준비가 안된것으로 분석했다.
신호전송기기를 제조하는 중소기업은 "현재 제조하는 기기에는 100% 일본산 CPU가 들어가는데 해당 CPU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 굉장히 힘들다. 설사 다른 업체 CPU를 공급받는다 해도 제조라인을 전부 고쳐야 한다"고 하소연 했다.
금형업체 중소기업 대표는 "한국 기업의 경쟁력은 짧은 납기인데 무역 분쟁이 확산돼 한국 수출 제품에 대한 통관이 지연되면 수출 타격이 우려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수출 간소화 우대국)' 한국 배제에 대응한 고위 당·정·청협의회를 열어 부품·소재·장비 분야의 기술 자립을 위해 5년간 100개 전문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내년에 최소 1조원 이상의 관련 예산을 편성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또한 카이스트(KAIST)가 국내 기업들의 핵심 소재·부품·장비 원천기술 개발을 돕기 위해 나섰다. KAIST 소재부품장비 기술자문단을 구성해 159개 소재·부품·장비 관리품목 연관 중소·중견기업 기술 자문 및 지원을 한다.
신성철 총장은 "4차 산업혁명 기술패권 시대에는 과학기술인들이 나라 지켜야 한다"며 "현재의 국가적 위기상황에서 단기적으로 기술자문과 장기적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데 국가 전위대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기술독립국으로 혁신성장 할 수 있는 기반 닦는데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