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3 17:39 (화)
고령화∙일손 부족…’스마트팜’ 선택 아닌 필수
고령화∙일손 부족…’스마트팜’ 선택 아닌 필수
  • 차종환 기자
  • 승인 2019.10.08 07: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축산 전염병…관리 필요성 가중

농촌 지자체 시범사업 추진 잰걸음

청년인력 육성∙민간투자 ‘관건’

정책 구심점∙사용성 높인 앱 절실

끊임없이 반복되는 농∙축산 전염병으로 인해 스마트팜(Smart Farm)의 보급이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최근 국내에 발병한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그 예다. 치료제가 없는 전염병으로 축산농가에 비상이 걸리면서 스마트팜의 필요성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수준의 ICT 인프라가 발달해 있지만 스마트팜은 선진국을 따라가기 힘든 수준이다.

스마트팜 산업이 처한 현실과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봤다.

■ ICT접목…국내는 시설농업에 편중

스마트팜은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드론 등의 ICT기술을 이용해 기존 농업이 지닌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움직임이다. ICT 기술이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농사뿐 아니라 농장경영에 관계된 최적화된 솔루션을 실현하기도 한다.

가장 일반화된 스마트팜 구현의 예는 농장 곳곳에 설치된 센서가 각종 정보를 수집해 관리자의 의사결정을 돕는 방식을 들 수 있다. 보다 직접적인 활용을 든다면 로봇이 작물의 재배, 수확 등을 사람 대신 수행하고 드론이 경작지에 농약을 살포하는 등의 예가 있다.

국내 스마트팜 기술은 온실작물을 재배하는 시설농업에 집중된 편으로, 전자에 속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1년 내내 가동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작물의 연중 생산을 가능케 하고, 높은 인건비를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경제성을 발휘한다. 축산 농가의 경우 시설농업이 대규모 기업형으로 발전하고 있어 양계, 육계, 한돈 농장은 상당한 수준의 스마트화가 이뤄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로봇, 드론 등이 직접 농사에 관여하는 것은 미국 등 넓은 경작지를 보유한 국가에서 주로 도입 중인 방식이다.

■ 산업구조 '기업형'으로 변화

스마트팜은 생산자의 고령화와 일손 부족이라는 농촌의 현실을 극복할 거의 유일한 대안으로 평가받는다. 농업에 ICT를 접목함으로써 우수한 청년 인력의 유입, 침체된 농업에 대한 전후방 산업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가 높다.

지난해 농림축산식품부는 혁신성장 핵심 선도과제 중 하나로 ‘스마트팜 확산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주요 정책과제로 △청년 창업 생태계 조성 △산업 인프라 구축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제시했다.

아울러 2022년까지 혁신밸리 4개소 조성 및 스마트팜 7000ha, 스마트 축사 5740호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스마트팜은 산업 구조적인 변화에 가속도를 부여할 전망이다.

농민으로 통칭되던 농업생산자가 자급형 생산자, 농업경영자, 농업생산기업으로 분화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러한 분화는 농업의 특징 중 하나인 계절노동을 상시노동으로 전환할 수 있어 농업의 기업화가 더욱 촉진될 것으로 보인다.

■ 지자체 시범사업 성과 관심집중

농업이 주요 산업 기반인 지자체에게 스마트팜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전북 진안군은 지난달 스마트팜 테스트베드 교육장 조성을 완료하고 토마토, 딸기 등 작물 시험재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군은 복합 환경제어, 환경 정보수집 장치 등 스마트 영농기술을 접목해 스마트팜 체험이 가능하고 첨단 교육장으로 활용함에 따라 농가 소득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험재배 중인 딸기, 방울토마토는 농촌진흥청과 연계해 생육데이터를 수집·분석해 진안군 스마트 영농에 적합한 빅데이터를 농가에 제공할 계획이다.

강원 영월군은 원예 전문 스마트팜 보급에 나섰다.

현재 영월군 시설원예 재배면적은 112ha, 330개 농가로 주 재배작물은 토마토와 오이다. 영월 토마토는 초여름부터 늦가을까지 주로 생산돼 전국적으로 맛과 품질에서 호평을 받고 있다.

최근 주 재배시기에 극심한 가뭄과 고온 등으로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능동적인 대책으로 스마트팜을 꾸준히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아산시는 스마트팜 시범 사업으로 추진한 고추 수경재배 사업이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일반 고추농가보다 수확량이 20~30% 증가되고, 노동력 절감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수경재배는 흙을 사용하지 않고 물과 수용성 영양분으로 만든 배양액 속에서 식물을 키우는 방식으로, 보통 딸기·토마토 농가에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나 시는 고추에도 수경재배를 도입했다.

수경재배 도입 농장은 컴퓨터와 스마트기기를 적용한 온실 환경 및 시설 최적 자동제어 시스템을 구축해 온·습도, pH, EC, 양액 등 자동조절장치로 고추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였다.

■ 국가적 전략 부재·기술표준 걸음마 '한계'

업계는 스마트팜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농업 자체의 극적인 변화를 기대하기엔 무리가 있다고 평가한다.

여타 국가는 스마트팜에 대한 국가적 고유 전략이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하다는 점이 지적된다. 예로, 영국은 인공위성 기반의 기술개발, 이스라엘은 물 관리 등 환경제어, 일본은 농업용 로봇기술 등에 특화돼 있다.

우리나라도 정책적 구심점을 찾지 못하면, 자칫 농민들이 일자리를 잃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시각이다.

아울러 스마트팜은 필연적으로 투자비용의 증가를 수반한다. 투자회수 기간 동안 안정적인 농업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는 확신이 필요한데 이를 감당할 농가는 많지 않다. 그마저도 정부의 지원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다.

기술 표준이 걸음마 수준인 것도 발목을 잡는다.

시장의 확대를 위해선 여러 기업들이 자유롭게 스마트팜에 뛰어들며 생태계가 조성돼야 하지만 현재 스마트팜은 공급 기업이 표준화되지 않은 부품 및 기자재를 도입하는 상황이다. 이는 곧 특정업체 의존도를 높이고 장애 발생시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를 야기시킨다.

지난달 국립전파연구원이 스마트 축사에 활용되는 센서에 대한 국가표준안을 마련한 것이 그나마 긍정적인 요소다. 축사 내외부 환경 측정 센서와 안전센서의 측정범위, 결선 및 배선에 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 농가가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펴낸 ‘4차산업혁명에 대응한 스마트농업 발전방안’에 따르면, 스마트팜의 활성화 핵심과제로 ‘인력육성’이 꼽힌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스마트팜 기술은 농가가 운영하기에는 어려운 수준으로, 농가가 기술을 습득하고 첨단 기술을 원활히 감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이를 안내하고 컨설팅할 수 있는 현장 전문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민간기업으로부터의 인프라 구축 및 자본투자도 유도돼야 한다.

스마트팜을 설치∙운영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설치, IoT 등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 현재 통신사가 주도하는 스마트팜 사업이 활성화돼 있는데, 외부자본과 민간이 개발한 기술이 자연스럽게 접목될 수 있는 장이 마련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기술 수요자인 농가가 빠르게 스마트팜 기술에 적응하기 위해 실질적이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앱 개발 보급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기초 수준에 머물러 있는 환경제어관리 앱, 생육관리 앱, 영농의사결정 앱 등을 보다 정밀하게 개발 보급해야 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23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