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1:05 (금)
[이슈] 엔지니어링 전업사 1인당 매출액, 건설 겸업업체 1/8 수준
[이슈] 엔지니어링 전업사 1인당 매출액, 건설 겸업업체 1/8 수준
  • 이민규 기자
  • 승인 2019.12.03 07: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엔지니어링협회, 1952개 기업 실적 분석

전문업체·E&C 기업 간 수익성·생산성 격차 심화
영업이익은 13.6배 차이

엔지니어링 전문업체와 E&C(Engineering and Construction) 기업 간 경영실적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C 기업은 엔지니어링 사업과 건설업을 겸하는 회사를 말한다.

전체 사업 물량의 감소에도 엔지니어링 사업자가 증가하는 수요-공급 간 불균형이 엔지니어링 전문업체 수익성 하락의 주된 원인으로 지적된다.

한국엔지니어링협회 정책연구실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엔지니어링 인사이트’ 보고서를 발표했다. 엔지니어링협회는 엔지니어링 기업의 경영실적 향상과 기술발전을 위해 관련제도의 선진화와 산업구조 개편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영업이익률 하락세 뚜렷

엔지니어링협회는 2017년∼2018년 우리나라 엔지니어링 기업의 경영성과와 직원의 생산성을 측정하고 주목할 만한 변화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2년 연속 경영실적을 공개한 엔지니어링전업사 1407개사를 포함해, 모두 1952개 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분석자료에 따르면, 엔지니어링 사업을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업체(전업사)의 지난해 평균 영업이익률은 4.0%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산업(5.6%) 및 E&C 기업(6.6%)의 평균 영업이익률보다 낮은 것이다.

엔지니어링 전업사는 건설과 비건설 부문 모두 수익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출 10억원 미만 소기업은 영업이익률이 1%대로 더 악화됐다.

엔지니어링 전업사와 E&C사 간 경영실적의 양극화도 눈에 띈다.

주요 내용을 보면 지난해 엔지니어링 전업사의 업체당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0.5% 줄었고, 순이익은 25.4% 감소했다.

이에 반해 E&C 기업의 업체당 영업이익 및 순이익은 각각 19.6%, 27.3%씩 증가했다.

엔지니어링 전업사의 경영실적을 기술부문별로 분석한 자료도 주목할 만하다.

건설부문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13.8%, 14.8% 감소했으며, 비건설부문의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27.5%, 36.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엔지니어링 전업사의 업체당 영업이익은 매출규모별로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매출 10억원 미만 소기업의 업체당 영업이익은 73.6% 줄었고, 매출 10억∼300억원 이하 기업 및 300억원 초과기업의 영업이익은 각각 18.3%, 18.8%씩 감소했다.

엔지니어링전업사와 E&C기업 간 직원 1인당 생산성 차이도 매우 컸다.

엔지니어링전업사의 지난해 1인당 매출액은 1억3000만원, 영업이익은 500만원, 순이익은 41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E&C사의 작년 1인당 매출액은 10억3000만원, 영업이익은 6790만원, 순이익은 2400만원으로 분석됐다. 엔지니어링전업사 대비 E&C사의 1인당 매출액은 8.1배, 영업이익은 13.6배, 순이익은 5.9배의 격차를 보인 셈이다.

엔지니어링전업사의 1인당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건설기술부문이 각각 450만원 및 390만원으로 집계됐다. 비건설기술부문은 각각 590만원 및 440만원으로 조사됐다.

기업규모로는 매출 10억∼300억원 이하 기업의 1인당 영업이익 및 순이익이 300억원 초과기업보다 컸다.

공급 과잉이 양극화 초래

이처럼 지난해 엔지니어링 전업사의 수익성과 직원 생산성은 크게 하락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엔지니어링 업종의 특성상 엔지니어링 전업사와 E&C기업의 직원 1인당 생산성을 매출만으로는 비교하기 어렵다.

엔지니어링협회는 재무 레버리지 등의 요인을 고려하더라도 두 업종 사이에 1인당 영업이익 과 순이익에서 큰 차이를 보인 것에 주목했다. 재무 레버리지란 기업이 타인자본, 즉 부채를 보유함으로써 금융비용을 부담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점들을 종합해볼 때 엔지니어링 기업의 경영악화는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즉 공급과잉 현상에 기인한다는 게 엔지니어링협회의 진단이다.

즉, 수요(발주)가 감소하는 가운데 공급(엔지니어링 사업자)은 해마다 증가하는 불균형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엔지니어링협회는 수요-공급 간 불균형의 원인을 크게 5가지로 요약했다.

무엇보다, 엔지니어링사업자의 신고 요건이 계속 완화돼 엔지니어링산업의 진입장벽이 낮아진 것을 주된 원인으로 지적했다.

둘째, 낙찰제도의 기술변별력 부족으로 한계기업이 시장에서 퇴출되지 않고 덤핑투찰을 벌여 시장을 교란하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짚었다.

셋째, 낮은 가격과 운에 의해 낙찰자가 결정되는 적격심사제도로 낙찰확률을 높이는 쪽으로 시장이 움직이다보니 페이퍼컴퍼니가 증가한 것도 주된 원인으로 분석했다.

넷째, 비상장기업에 대한 M&A 및 가업승계 요건을 엄격하게 적용해 엔지니어링 기업의 출구전략이 사실상 봉쇄된 것도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이 밖에 엔지니어링의 창의적 가치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시공의 저가경쟁 낙찰제를 따라가는 풍도를 원인으로 들었다.

더불어 시공 중심 정책과 턴키발주 증가로 엔지니어링 사업이 시공의 하도급에 편입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문제를 원인으로 들었다. 이로 인해 사업대가가 낮아지고 불공정거래가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엔지니어링협회는 엔지니어링 기업의 경영실적 향상과 기술발전을 위해서는 국내 엔지니어링 제도의 선진화와 산업구조 개선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경기불황 → 공급과잉 → 저가수주 → 경영악화 및 기술발전 후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합리적 제도개선을 서두르고, 산업구조를 재편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기술 중심의 낙찰제를 실시하고, 궁극적으로 미국 등과 같이 기술력만으로 엔지니어링 낙찰자를 결정하는 QBS(Quality-Based Selection) 방식과 실비정산방식을 채택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엔지니어링 기업에 대한 가업승계 및 비상장기업 M&A에 대한 세제혜택 요건을 완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산업구조 개선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19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