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7:36 (금)
경찰∙소방∙지자체 하나로…재난안전통신 전국망 완료 눈앞
경찰∙소방∙지자체 하나로…재난안전통신 전국망 완료 눈앞
  • 차종환 기자
  • 승인 2020.03.31 10: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남부권∙수도권 구축
재난대응 일원화 체계 완성

해상∙철도망 전파간섭 문제
이격∙기지국 공유로 해결

2025년 이후 5G 도입 고려
원격제어 무인 구호 실현
전국 단위 재난망 서비스의 실현이 눈앞이다. [사진=클립아트 코리아]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이하 재난망)의 전국 단위 국가망 실현이 머지않았다.

재난망은 각종 재난 현장에서 구호기관 간 상황 전파와 일원화된 지휘 체계를 실현하는 통신망이다.

지난 2018년 구축에 착수해 올해 전국망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8년간 약 1조5000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사업인 만큼, 여러 기술적 이슈가 끊이지 않고 있기도 하다.

그간 재난망 구축이 어떻게 진행됐는지 중간 점검해보는 지면을 마련했다.

 

■1조5000억 규모 공공망 ‘시동’

행정안전부는 지난 2018년 12월 재난망의 공식 규격인 PS-LTE 통신망 구축에 착수한다고 밝힌 바 있다.

PS-LTE는 3년(2018~2020년)의 구축 과정을 거쳐 5년(2021~2025년)간 운영된다. 소요예산은 1조4776억원(구축비3810억원, 운영비6960억원, 단말기4006억원)이며 운영센터 2개소, 기지국 1만5447식 설치에 단말기 24만대를 보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사업이 완료되면 재난현장과 본부, 현장 내 대원 및 기관 상호간 현장상황, 피해내용, 작전정보, 지휘내용 공유 및 전파 등의 통신을 지원하게 된다. 경찰, 소방, 지자체, 해경, 군, 의료, 전기, 가스 등 8대 분야 333개 기관이 사용할 예정이다.

재난이 발생하지 않은 평시에는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의 주요기술과 접목해 신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에 활용될 예정이다.

PS-LTE 구축사업은 3개 사업구역(A, B, C)으로 구분되는데 A, B구역을 KT컨소시엄이, C구역을 SKT컨소시엄이 수행한다. 각 구역은 3단계에 걸쳐 동시에 진행된다.

A구역은 서울, 대구, 대전, 세종, 경북, 충남, 제주 등 7개 시도에 고정기지국 등 5647개소의 설치와 함께 운영센터 구축(제1‧2센터 및 제주분소)이 포함된다. 사업비는 3300여억원이다.

B구역은 강원, 광주, 전북, 전남, 경기 등 5개 시‧도에 고정기지국 등 6148개소가 설치되며, 사업비는 2600여억원이다.

C구역은 부산, 인천, 울산, 충북, 경남 등 5개 시‧도에 고정기지국 등 3652개소가 설치되며, 사업비는 1500여억 원이다.

 

■1단계 사업 완료, 향후 추진계획은?

행안부는 지난해 10월, 1단계 사업을 완료하고 올해부터 재난망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1단계 사업은 대전, 세종, 강원, 충청 지역을 포함한 중부권을 아우르고 있다. 이 지역 경찰이 재난망 서비스를 가장 먼저 사용한다.

1단계 사업은 서울운영센터 주제어시스템의 고도화와 용량 증설에 초점을 맞췄다.

재난망의 안정성 및 생존성을 높이기 위하여 서울-대구-제주 센터간 3원화를 추진했고 최대 80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장비용량을 적용했다. 전송로의 주요 통신국사(집중노드)를 이원화하고 전송망(전용회선)도 이중화했다.

고정기지국은 국가기반시설, 인구밀집지역(주거, 관광지 등), 도로, 산지 및 농어업 지역별 설치기준을 적용했고 목표 커버리지, 통화폭주 등을 고려해 시공했다. 커버리지 확보를 위해 종합계획 대비 고정기지국이 3519개소에서 4376개소로 증가했다.

이동기지국은 재난현장의 커버리지 확보, 통화용량 확대 등 긴급통신수단을 위한 차량 및 배낭형으로 설계됐다. 각각 6대, 14대를 확보했다.

현재 추진 중인 2, 3단계 사업은 올해 말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2단계 사업은 대구운영센터 주제어시스템 구축과 제주분소 개설을 중심으로 추진된다. 대구 센터는 서울 센터의 주제어시스템과 용량과 기능이 동일한 사양으로 구축된다.

아울러 남부권(영·호남, 제주) 기지국 구축과 상용망·공공망 연동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총 사업금액은 1354억원이다.

3단계 사업은 수도권 지역 기지국 구축이다. 1045억원 규모로 진행되며, 이로써 재난망의 전국 단위 서비스가 완성된다.

 

■주파수 간섭 논란, 협의체 구성으로 일단락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PS-LTE, LTE-R, LTE-M은 주파수 공유 기술 등을 통해 전파간섭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동일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PS-LTE, LTE-R, LTE-M은 주파수 공유 기술 등을 통해 전파간섭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사진=SK텔레콤]

실제 구축에 이르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던 재난망이지만, 사업 착수 이후에도 순탄한 길을 걸어온 것만은 아니다.

재난망은 PS-LTE를 주축으로 철도통신망(LTE-R)과 해상통신망(LTE-M)을 통합, 연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런데 각 통신망들 모두 700㎒ 대역을 사용해 전파간섭 문제가 불거지게 됐다.

2014년 주파수 할당 당시 재난안전용 주파수가 700㎒ 대역 20㎒ 폭으로 결정됐다. 서로 다른 3개 망이 20㎒의 좁은 대역폭을 공유해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PS-LTE는 재난상황시에만 본래 기능을 발휘한다면, LTE-R은 열차제어를 비롯한 평시 철도업무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전파간섭 문제가 자칫 철도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LTE-R를 적용한 원주~강릉선에서 PS-LTE와 LTE-R 간 간섭이 발생해 문제의 심각성을 더했다.

해결책은 기지국 간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에 각 통신망의 주무부처인 행안부(PS-LTE), 해양수산부(LTE-M), 국토교통부(LTE-R)가 ‘통합공공망 협의회’를 구성해 3개 통신망 간 공동설계와 안전기술을 적용키로 합의했다.

국토부는 철로 구간을 따라 철도망을 우선 구축하고, 행안부·해수부는 재난망 및 해상망을 철도망과 최대한 이격해 구축하기로 했다.

협의회는 철도망 우선 구축 이후 2차 발생하는 전파 간섭 또는 음영지역 문제는 ‘랜 셰어링(RAN Sharing)’ 기술로 보완키로 했다.

‘랜 셰어링’은 이미 3GPP 국제표준에 채택된 기술로, 무선망 중첩지역에서 간섭 해소를 위한 기지국 공유 방식과 끊김없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망 설계 기준 등이 정의돼 있다.

즉, 철로에서 PS-LTE 단말기가 자체 기지국이 아닌 LTE-R 기지국에 접속해 데이터를 중계하는 통신이 가능해진다.

협의회는 현재 망이 구축되고 있음을 감안해 완벽한 사전설계 방안을 마련한 이후 망을 구축하기보다 기관 간 설계 공유를 바탕으로 한 시뮬레이션 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다.

 

■기술표준 몸살 재현? 5G는 시기상조

상용망에 5G 시대가 열렸는데 재난망도 5G로 구축해야 하지 않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수년전, 재난망이 기술표준 채택에 몸살을 앓았던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당시 재난안전통신용으로는 TRS 방식이 널리 쓰이고 있었지만 최신 기술인 LTE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었다.

재난 상황에서의 생존성은 TRS 방식이 더 뛰어나지만, 영상통화 등을 비롯해 LTE 기반으로 실현할 수 각종 부가기능의 메리트가 높아 기술표준은 PS-LTE로 일단락됐다.

이러한 맥락에서, 5G 역시 재난용으로 도입되려면 LTE를 뛰어넘는 특화된 기능이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업계는 시기상조라는 평가다.

아직 상용망에서도 5G가 제대로 된 품질의 전국망을 실현하지는 못한 상황이라 이를 재난망에 적용하기는 무리가 있다는 결론이다. 특히 5G가 주요 특성으로 내세우는 ‘저지연성’이 재난상황에 굳이 필요한지는 의문부호가 따른다.

시급성을 고려할 때 하루빨리 전국 단위 서비스를 실현해야 할 재난망이기 때문에 이미 기술적 완성도가 갖춰진 LTE가 합리적이라는 판단이다.

정부는 재난망의 5G 전환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현 재난망 운영 계획이 완료되는 2025년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5G 기반 재난망의 핵심 서비스로는 무인 재난구호 시스템이 유력하다. 사람이 위험한 현장에 직접 뛰어들 필요없이 로봇이나 드론을 원격제어해 사고자를 구조하거나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19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