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8 17:30 (목)
휴대폰번호·휴대전화→‘휴대전화번호’로 통일
휴대폰번호·휴대전화→‘휴대전화번호’로 통일
  • 김연균 기자
  • 승인 2020.04.29 09: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51개 ‘공통표준용어’ 제정
데이터관리 일관성 향상
5월 중순 최종 확정·고시

공공데이터 상에서 통용되는 표준용어가 마련돼 공공기관 간, 공공기관과 민간간의 공공데이터 활용이 매우 편리해질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모든 공공기관 정보시스템에서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공데이터 공통표준용어’ 351개를 제정·보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공통용어 표준화로 범정부 데이터 관리의 일관성과 통일성을 높이고, 기관 데이터 간 연결성을 강화해 민간 데이터의 융·복합 사업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행안부는 수개월에 걸쳐 각 기관이 사용 중인 400만여개의 기관 컬럼을 발굴·분석해 모든 기관이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용어를 표준화 했다. 표준의 정확도와 완결성을 높이기 위해 언어전문가(국문, 영문), 데이터 표준 전문가, 기관 현업부서 담당자, 민간데이터 개발자 등을 대상으로 검증과정을 거쳤다.

현재 기관별 사용 중인 표준용어 중 사용빈도와 중요도가 높은 용어를 선별해, 명칭(한글, 영문, 영문약어)과 형식(타입, 길이)을 범정부 단위로 표준화해 제공하기로 했다.

예를 들어 A기관에서는 ‘휴대폰번호’, B기관에서는 ‘휴대전화’, C기관에서는 ‘핸드폰번호’라고 부르던 것을 ‘휴대전화번호’로 통일하기로 했다. 또 일자 형식을 A기관에서는 ‘YYMMDD’, B기관 ‘MM-DD’, C기관 ‘MM/DD’로 표기하던 것을 ‘YYYYMMDD’로 통일하기로 했다.

그동안 기관 단위로 표준을 정해 데이터를 관리하다보니, 동일한 내용을 기관마다 다른 명칭과 형식으로 관리하는 사례가 많아 데이터 연계와 활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예를 들어, ‘일자’를 ‘일’, ‘날짜’, ‘DATE’로, ‘연도’를 ‘YYYY’, ’YY’로 표기하는 등 기관마다 용어와 형식이 조금씩 달라 데이터 연계할때 이를 맞추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불편했다.

이번 ‘공공데이터 공통표준용어’ 제정은 기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일자, 여부, 번호 등 표준용어 351개를 우선 선정했으며, 4월 28일부터 20일간 행정예고와 기관 의견수렴을 거쳐 5월 중순에 최종 확정·고시될 예정이다. 공통표준용어 제정고시 내용은 전자관보 및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행안부는 추가 발굴작업을 거쳐 올해 500여개의 공통표준용어 제정을 추진할 예정이며, 2022년도까지 1500개를 지속적으로 개발·보급하고 기관이 운영 중인 시스템에 순차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박상희 행안부 공공데이터정책관은 “공통표준용어의 개발은 데이터 사용 혼선 및 불일치 문제를 해소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 모든 국민이 공공데이터를 믿고 마음껏 이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를 포함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18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