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7:36 (금)
Hive 랜섬웨어가 암호화한 파일, 복원 툴로 되살린다
Hive 랜섬웨어가 암호화한 파일, 복원 툴로 되살린다
  • 박광하 기자
  • 승인 2022.03.21 14: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과기정통부·한국인터넷진흥원
암호키 복구 도구 개발·배포
사이버 인질극 피해 예방 지원

2021년 6월 발견 Hive 랜섬웨어
피해 파일 암호키 복구 성공
랜섬웨어 피해 예방 5대 수칙 포스터. [자료=과기정통부·KISA]
랜섬웨어 피해 예방 5대 수칙 포스터. [자료=과기정통부·KISA]

[정보통신신문=박광하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함께 Hive 랜섬웨어 버전 1 복구 도구를 개발해 배포한다고 최근 밝혔다.

랜섬웨어(Ransomware)란 해커가 피해자의 시스템이나 데이터를 암호화해 사용할 수 없도록 한 뒤, 이를 인질로 삼아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을 뜻한다.

과기정통부는 기업의 랜섬웨어 피해가 증가하자 지난 2월 랜섬웨어 피해 주의보를 발령한 바 있다. 작년 KISA에 신고된 랜섬웨어 피해신고 건수는 223건으로 전년(127건) 대비 76% 늘었고, 올해 1월에만 피해신고 19건이 접수되는 등 최근 랜섬웨어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번에 과기정통부와 KISA가 개발해 배포하는 복구 도구는 랜섬웨어 종류 중 하나인 Hive 랜섬웨어 버전 1에 적용할 수 있다.

Hive 랜섬웨어는 해커가 윈도우 취약점을 이용해 시스템에 침투한 후 파일을 암호화해 이용자가 파일을 이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해당 파일의 확장자를 '.hive'로 변경하는 랜섬웨어다.

해당 랜섬웨어는 미국 대형 의료센터를 공격해 의료 시스템을 마비시키고, 유럽의 전자장비 도소매업체인 미디어막트를 공격해 결제시스템을 마비시킨 바 있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Hive 랜섬웨어 버전 2·3에 대해서도 올해 3분기 중에 복구 도구를 개발해 배포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와 KISA는 현재까지 랜섬웨어 암호키 복구도구 4종을 개발했으며, 해당 복구 도구를 사용 매뉴얼과 함께 국내 암호이용활성화 웹사이트에서 배포하고 있다.

암호이용활성화 웹사이트.
암호이용활성화 웹사이트.

기업이나 개인이 랜섬웨어에 감염된 것을 인지하거나 의심되는 경우 KISA 118센터나 보호나라 웹사이트를 통해 침해사고를 신고하면 기술지원을 받을 수 있다.

김정삼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이번에 개발된 랜섬웨어 복구 도구로 국민의 랜섬웨어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전 예방이다"라며 국민들과 기업의 랜섬웨어 피해 예방을 위한 주의를 당부했다.

과기정통부는 랜섬웨어 복구도구 개발·보급과 함께 랜섬웨어 피해예방을 위해 △중요한 자료 정기적 백업 △출처가 불명확한 전자우편과 URL 링크 클릭 주의 △파일 공유 사이트 등에서 파일 다운로드 주의 △최신버전 소프트웨어(SW) 사용 및 보안 업데이트 적용 등 '랜섬웨어 피해 예방 5대 수칙'을 홍보하고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19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