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통신신문=김연균기자]
2022년도 어느덧 중반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벚꽃이 만연했던 짧은 봄도 지나고 일부 지역은 낮 최고 30도에 이르는 초여름 날씨를 선보이기도 했다.
여름이 온다는 얘기다. 집중호우와 장마, 태풍에 직면하게 됨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침수로 인한 피해 소식을 접하게 될 것이다.
지난 2020년 장마는 역대 최장기간을 기록하며, 전국적으로 피해를 발생케 한 기억이 있다. 부산시 초량지하차도와 서울 강남역 일대가 침수된 사례가 있다.
단시간에 집중된 비는 차량, 도로, 지하시설물 등을 집어 삼키기도 하고, 인명 피해까지 발생케 한다는 점에서 사전 대비 방안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현재 침수 위험 지역에는 수많은 CCTV가 설치돼 위험을 감지하고 있지만 제약이 많다. 비가 많이 오거나 어두운 야간에는 시야 확보가 안돼 영상 확인이 어려울 수도 있고, 수많은 CCTV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인력도 그만큼 투입돼야 하는 게 현실이다.
조금 더 과학적인 접근을 요하는 부분이다.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기술이 있다면 바로 ‘센서’가 아닐까 싶다.
침수 센서는 침수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는 동시에 다수의 지역을 모니터링하는 데 유용하다. 그리고 밝기 등 주변 환경에 상관없이 계측된 자료를 실시간으로 들여다 볼 수 있다.
현재 서울시가 운영하는 우수관 수위 모니터링 시스템을 비롯해 부산시가 지표침수 센서를 설치해 운영 중이다. 그리고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을 중심으로 여러 지자체에 침수센서 설치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업계에서는 센서를 도시화에 따른 침수 문제를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행정안전부도 최근 국책 연구과제로 도시침수 센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 개발과 함께 보급에도 탄력이 붙길 기대한다.
수도권이나 광역시 등 규모가 있는 지자체에서는 도입 움직임이 활발하지만 중소하천 범람이 우려되거나 그러한 경험이 있었던 작은 지자체에서는 아직까지 도입이 더딘 편이다.
아무래도 예산이 최대 걸림돌인 모양이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의 경우 그만큼 기술 도입에 여력이 없는 게 당연지사.
중앙 정부나 광역 지자체에서 지원을 조금 더 늘린다면 해결될 수도 있는 부분이다. 경제에만 상생, 공생이 있으랴. 재난안전 분야에도 같은 이치를 적용한다면 안전한 대한민국을 그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무쪼록 올해에는 9시 뉴스에 범람하는 물길을 보지 않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