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특구 내·외·간 네트워크 연계 집중 지원

제4차 특구 육성 계획 발표
고역량 기업에 지원 집중
기업공개·인수합병 지원도

2021-03-10     최아름 기자
10일 열린 ‘4차 특구육성종합계획 공청회’에서 전문가들이 패널 토의를 진행했다.

대덕·광주·대구·부산·전북·강소특구 등 연구개발특구 내 최고 혁신 역량 보유 기업에 중장기적 지원이 집중되는 프로그램이 도입된다. 기업 성장에 필요한 인력 네트워크 및 특구 내, 외 및 특구 간, 해외 네트워크 구축에도 지원이 대폭 강화된다.

10일 열린 '제4차 특구육성종합계획 공청회'에서는 이 같은 내용의 제4차 연구개발특구 육성 종합계획이 발표됐다.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2025년까지 매출액 100조원, 기업수 1만개, 코스닥 등록기업 150개, 기술이전금액 1500개를 목표로 4대 정책과제를 추진한다.

4대 정책과제는 △공공기술 사업화로 저탄소 디지털 경제 및 디지털 혁신 선도 △규제에 자유로운 연구개발 환경 조성 △벤처·창업하기 좋은 혁신 생태계 구축 △상생협력을 통한 특구 네트워크 강화다.

이를 위해 특구 내 최고 혁신역량 및 뛰어난 성장 잠재력을 가진 기업 1~2개를 선정, 중장기적으로 집중 지원하는 ‘이노 스페셜 원’ 프로그램이나 기업 성장을 위한 맞춤형 인력 네트워크 지원,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 지원 프로그램 등이 도입된다.

10일 열린 제4차 특구육성종합계획 공청회에서 전문가들은 이번 계획과 관련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홍순정 과기정통부 과장은 “올해는 특구 활성화보다는 내실화를 위한 혁신 생태계 완비를 위한 원년 아닐까”라며 “특구 간 또는 특구-지역 간, 특구 내 혁신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소재한 기업뿐 아니라 연구소, 정부기관까지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이 잘 만들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동욱 전북대 교수는 실증특례 제도와 관련해 “기업뿐 아니라 연구자에게도 기술개발 단계부터 실증특례를 적용할 수 있다면 훨씬 파급효과가 클 것”이라고 조언했다.

남재열 계명대 교수는 “광역특구가 자율적으로 해볼 수 있는 사업이나 자원이 상당히 제한적이라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지역 대학을 특구를 통한 지역 활성화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윤병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본부장은 “특구 내 기업들이 기술 중심 기업이기 때문에 초반에는 경쟁력이 있지만 이후에 스케일업에는 한계가 있는 경우가 많아 M&A가 훨씬 이익인 경우도 생긴다”라며 “IPO 및 M&A 지원 계획은 매우 시의적절하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