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부설연, 대학·출연연 연계 역량별 지원 신규 추진

과기정통부
역량 20~80% 해당 기업
55억9000만원 예산 투입
공동 기술 개발·지원 추진

2022-01-18     최아름 기자
[출처=과기정통부]

 

[정보통신신문=최아름기자]

영세하고 생존력이 약한 중소‧중견 기업 부설연구소의 R&D 역량 강화를 위해 올해부터 정부가 맞춤형 지원사업을 시작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기업부설연구소 R&D 역량강화 지원사업’을 올해부터 신규 추진한다. 투입 예산은 55억9000만원이다.

지원대상은 3년 이상 기업연구소를 보유한 중소‧중견 기업이며, 사업별 기업부설연구소 R&D역량진단 결과 상위 20~80%에 해당해야 한다.

기업연구소는 민간기업의 R&D 활동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그간 양적으로 크게 성장해 현재 약 4만4000여개가 운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체 연구개발비(2020년 93조1000억원)의 약 80%(73조6000억원)를 집행하는 국가R&D의 주축이다.

다만, 현재 기업연구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중견기업의 연구소는 대부분 규모가 영세하고 생존율이 저조한 상황이다.

지난해 말 기준 전체 기업연구소(4만4067개) 중 중소기업 연구소는 4만1887개(95.1%), 중견기업의 경우 1437개(3.3%)지만, 2020년 기준으로 연구원수가 5인 미만인 소규모 연구소가 61.1%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5년 생존율은 2019년 기준 44.4%로, 10개 중 6개는 설립 후 5년 이내에 폐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먼저 과기정통부는 기업연구소의 연구역량을 수치화해 진단하는 ‘기업연구소 R&D 역량진단 모델’을 개발했다.

진단 모델은 R&D 투자규모, R&D 집약도, 연구원 수, 연구기자재 수, 연구소 업력, 고급 연구인력 비중, 교육훈련비 비중, 신기술·신제품 인증 실적 등 기업 R&D 역량지표를 정의하고, 가점지표 4개(+5점)를 포함해 총 105점 만점으로 평가한다.

평가 결과에 따라 △초기형(상위 80~100%) △잠재형(60~80%) △성장형(40~60%) △도약형(20~40%) △선도형(0~20%)으로 나누게 된다.

이 중 ‘선도형’ 기업으로 구성된 ‘민간 R&D 협의체’를 운영해 민간의 수요를 바탕으로 탄소중립 및 스마트센서 등 혁신성장 분야 과제를 도출하고, 도출된 과제 관련 분야 기업연구소 중 잠재형, 성장형, 도약형 연구소에 각각에 필요한 기술애로 해결, 보유 기술의 고도화, 선도기술·제품 개발 등을 3개의 내역사업으로 구분해 지원하기로 했다.

[출처=과기정통부]

먼저 잠재형(상위 20~40%) 기업의 경우 연구소 저변 확대를 위해 기업 자체 5개 R&D 과제에 대학 및 출연연을 매칭, 1년간 2억원을 지원한다.

성장형(40~60%) 기업에는 대학‧출연연 공공연구성과 활용을 위해 1년 9개월간 10개 과제에 1년당 3억원을 지원한다.

도약형(20~40%) 기업에는 대학‧출연연과 공동연구를 통해 혁신적 신제품・기술 기획‧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년 6개월간 1년당 4억원을 지원해 사전기획 10개 과제 포함 15개 과제를 지원키로 했다.

이와 함께 선도형 그룹연구소 중심으로 구성된 민간 R&D 협의체 운영을 통해 핵심 R&D 과제 도출 및 기업연구소 지속성장을 지원한다.

동 사업의 구체적인 지원조건, 신청자격 등은 과기정통부,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및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홈페이지에 게재된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