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재난망 5G·6G로…통신 인프라 고도화 추진

■ 제1차 재난안전통신망 기본계획 수립
안정적인 재난 통화권 확보
지능형 재난대응 서비스 구축

2022-07-06     서유덕 기자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정보통신신문=서유덕기자]

정부가 재난 발생 시 안정적인 긴급 통화권을 확보하기 위해 차세대 재난안전통신망을 도입하는 등 재난안전통신망 고도화를 추진한다.

행정안전부는 향후 5년간 재난안전통신망의 운영 방침을 담고 있는 ‘제1차 재난안전통신망 기본계획(2022~2026)’이 제96차 ‘중앙안전관리위원회’ 서면심의를 통해 의결됐다고 6일 밝혔다.

재난안전통신망은 경찰, 소방, 해경 등 재난 관련 기관별 통신망을 일원화해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하는 전국 단일 통신망으로, 공공안전LTE(PS-LTE) 기반으로 지난해 세계 최초로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이날 의결된 기본계획은 체계적인 재난의 예방·대비·대응·복구 등 급변하는 환경 대응에 초점을 맞춰 수립되었으며,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인프라) 구현 △국민 안전 핵심 플랫폼의 안정적 운영 △재난 및 안전관리 서비스 확대 △더불어 성장하는 산업 생태계 조성의 네 가지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세부과제를 담았다.

우선 정부는 안정적인 통화권 확보를 위해 무선망을 확대하고, 차세대 재난안전통신망 도입을 추진하며, 지능형 서비스 공통 플랫폼을 확충해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기반 인프라를 구현할 계획이다.

특히 정부는 5G·6G 등 차세대 이동통신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4차산업 기술 기반 지능형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공통 플랫폼을 개발·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 국가 통합 공공망 협의회를 통해 전파 간섭을 해소하고, 기지국 정보를 공유하는 등 통합 공공망 상호운용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현행 안전 플랫폼의 운영과 관련해서는, 재난안전통신망 고도화에 따른 서비스 품질을 제고하고, 운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안 대응 체계를 강화해 국민 안전 핵심 플랫폼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통신망 시험·검증 체계 개선 △지속적인 서비스 수준 협약(SLA)지표 개발 △사용기관과의 협업 강화를 위한 공동 대응 체계 구축 등으로 서비스 품질을 제고하고 △운영센터를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과 국가보안시설로 지정해 해킹, 금품 요구 악성 프로그램 등의 사이버 공격과 외부인 침입 등 물리적 보안에 대비함으로써 통신망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보호 대책을 수립한다.

사용자 편의성도 향상한다. 단말기 보급 확대, 교육·훈련을 통한 재난대응 능력 강화, 특화 서비스 개발·도입 등 재난·안전관리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소방청·경찰청 등 재난안전 관련기관 간 신속한 상황판단과 초동 조치가 가능하도록 재난유형별 합동 훈련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재난에 특화된 영상정보 공유서비스를 시범 개발·도입한다.

재난안전통신망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에도 나선다. 상생 협력체계 마련과 법·제도 개선, 핵심기술 확보를 통해 산업활성화 기반을 조성하고, 한국형 재난안전통신모델(K-SafeNet)의 글로벌 진출 등을 준비한다.

행정안전부는 이번에 수립된 제1차 재난안전통신망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재난안전통신망의 실행력 확보를 위해 ‘재난안전통신망 시행계획’을 매년 수립·시행할 예정이다.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의 수립·시행으로 재난안전 분야에 차세대 이동통신을 포함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확산하고, 재난현장에서 지능형 서비스를 활용함으로써 정부의 재난·재해 대응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성호 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이번 제1차 재난안전통신망 기본계획 수립을 통해 경찰·소방 등 재난안전 관련기관이 재난·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운영 환경이 마련됐다”면서 “재난안전통신망 시행계획, 사용기관 활용계획을 차질 없이 준비해 국민 안전에 선봉이 되는 통신망이 되도록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