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1:05 (금)
경기침체 눈앞…공사업 생존전략 절실
경기침체 눈앞…공사업 생존전략 절실
  • 차종환 기자
  • 승인 2023.01.01 1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 ‘삼중고’
ICT수요∙건설경기 한풀 꺾여

공공부문 투자 확대 ‘돌파구’
‘광케이블 의무화’ 대응 필요
글로벌 경기 침체가 임박하면서 산업계 생존전략 수립이 절실해지고 있다. [사진=클립아트 코리아]
글로벌 경기침체가 임박하면서 산업계 생존전략 수립이 절실해지고 있다. [사진=클립아트 코리아]

[정보통신신문=차종환기자]

대외경제의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은 가운데, 정보통신공사업계의 생존전략이 어느 해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2022년은 거시경제가 지배한 한해였다는 평가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사그라드는가 싶더니 각국이 그동안 집행한 경기부양책이 발목을 잡았다.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이라는 결과를 맞닥뜨리면서 세계는 경기침체의 길목에 들어선 상황이다.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그 충격을 고스란히 받고 있다. 환율이 1440원까지 치솟는가 하면, 8개월 연속 무역적자를 기록하는 등 IMF 때나 볼 수 있었던 지표들이 속출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국내 ICT산업의 중장기 성장률이 한풀 꺾일 것으로 예상했다.

생산 측면에서는 원자재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 확산에 따른 ICT기기 수요 감소로 반도체 생산량이 감소해 2023년은 전년대비 1.4% 성장하고 2027년까지 연평균 2.9%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수출에서는 ICT기기의 글로벌 수요 둔화, 미국∙중국 등의 부품투자 확대로 글로벌 수출 경쟁이 심화되면서 전년대비 1.3% 감소하고 2027년까지 연평균 4.1%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2021년 수출 성장률인 24.0%에 비하면 급격한 하락세를 의미한다.

정보통신공사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건설업계의 전망은 더욱 암울하다.

고금리 정책에 따른 거래 절벽은 부동산 경기의 급격한 위축을 야기시켜 건설사들의 자금줄 압박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 일각에선 ‘흑자도산’의 우려까지 제기되는 상황에 건설사들의 투자가 제대로 이뤄질 리 만무하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건설사들의 수주액은 4년간의 지속된 증가세를 마감하고 206조8000억원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발주부문별로 공공부문이 3.1% 감소한 55조2000억원을, 민간부문이 9.0% 줄어든 151조6000억원을 기록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공종별로는 토목부문이 3.8% 줄어든 56조2000억원을, 건축부문이 8.8% 감소한 150조6000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결코 녹록치 않은 대내외 환경 속에서 이를 버텨낼 정보통신공사업계의 자구책 마련이 시험대에 올랐다.

전문가들은 공공부문의 투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최근 정부가 발표한 ‘공공부문 ICT장비 수요예보’에 따르면, 공공부문의 ICT장비 구매 예산이 1조2977억원으로 전년대비 21.8%라는 이례적인 증가율을 보였다.

기관별 주요 발주계획을 살펴보면, 국방부가 '노후화 네트워크장비 교체'에 최대 규모인 262억원을 집행한다.

인천 경찰청이 '노후 통신(보안)장비 교체'에 32억원과 '노후화 장비교체'에 15억원을, 한국도로공사가 '노후 정보보호제품 교체 및 증설'에 31억원, '민자노선 원톨링시스템 인프라 보안장비 교체'에 8억원을 투입한다.

이밖에, 대법원이 '사법 망분리 구축'에 32억원을, 서울교통공사가 30억원 규모의 '비상통화장치 개량사업'을 추진하며, 남양주시청도 2억원 규모의 '행정업무 지원을 위한 정보통신장비 구매'를 예고했다.

신축건물에 광케이블 설치가 의무화된 것도 호재다.

지난해 정부는 건축물의 구내통신 회선 수 확보기준을 한층 강화하는 내용의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개정안을 의결, 주거용·업무용 건축물에 UTP케이블과 광섬유케이블을 모두 갖추도록 의무화했다.

이로써 메타버스, 10기가인터넷 등 대용량∙고품질 서비스가 확산되기 위한 기틀이 마련됐다는 평가다.

이를 기반으로 전국 규모의 네트워크 인프라 고도화가 이어질 경우 정보통신공사업계의 사업물량 및 참여기회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업계의 지속적인 관심과 시공기술 개선 등의 대비가 필요할 것이라는 조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19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