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19 17:36 (금)
[기자수첩]통(通)해야 산다
[기자수첩]통(通)해야 산다
  • 박광하 기자
  • 승인 2018.06.23 16: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50년 6월 25일, 라디오에서는 "오늘 새벽 4시 미명을 기해 38선 전역에서 북쪽 괴뢰군의 전면적인 불법남침이 있었다"는 뉴스가 흘러나왔다. 6·25 전쟁의 시작이다. 그 뒤 3년간의 일진일퇴 끝에 휴전협정이 체결됐다. 국가기록원은 전쟁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국군·유엔군 전사자 18만명, 민간인 피해자 99만명이라고 집계했다. 전쟁미망인 20만명, 전쟁고아 10만여명도 김일성의 헛된 야욕이 만들어낸 비극이었다.

전쟁은 국토의 통신시설도 할퀴고 지나갔다. 파괴된 시설들이 휴전 이후의 우리에게 남은 것이다. 시민들은 가족과 친척, 친구들의 안부가 궁금했다. 이에 정부에서는 1953년 전화복구 계획을 수립해 민생 안정과 경제 발전을 꾀했다.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40년사'에 따르면 1953년 당시 2만2546명이던 가입자는 복구 사업에 힘입어 1956년 3만8753명으로 72% 증가했다. 시설 수도 58%가 늘었다. 이 사업은 정보통신 기술자들의 피와 땀으로 이뤄졌다. 그들은 나라 곳곳에 남아있던 지뢰와 불발탄이란 위협을 무릅쓰고 복구 사업에 뛰어들었던 것이다.

6·25 전쟁 발발로부터 68년이 흐른 지금 우리나라는 과학, 산업, 경제,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뤘다. 여기에는 정보통신 인프라가 바탕이 됐음은 물론이다. 전화회선을 이용한 다이얼업 모뎀 이후 ISDN이 등장했고, 그 뒤 케이블모뎀·ADSL·VDSL을 거쳐 FTTH가 확산되면서 통신속도는 비약적으로 빨라졌다. 이제 정부에서는 10기가인터넷을 전국적으로 구축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동통신망도 5G 상용화를 위한 막바지 준비가 한창이다.

이같은 우리나라의 정보통신산업 발전에 비해 북한은 갈 길이 요원하다. 북한은 아직도 3세대 WCDMA망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5G는 말할 것도 없고 전세계에서 상용화 중인 LTE망 구축 조차 엄두를 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남북간 통신 표준화와 주파수 공유를 위해 상호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연구에 착수하기로 했다. 남북의 통신 격차를 해소하고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대립과 불신은 불통에서 비롯된다. 또한 서로 소통하는데서 오해와 다툼을 해결할 실마리가 나온다. 이번 과기정통부의 연구는 남북이 서로 발맞춰 소통하기 위한 준비작업으로 이해된다. 국제적인 대북 경제 제재 속에서 풀어야 할 숙제가 아직 많이 남았지만, 이번 연구를 계기로 우리의 ICT가 휴전선을 넘어 한반도로, 유라시아 대륙으로 뻗어나가길 바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19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