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9 09:54 (금)
“화웨이 5G 장비 배제는 미국 압박에 의한 결정”
“화웨이 5G 장비 배제는 미국 압박에 의한 결정”
  • 박남수 기자
  • 승인 2022.01.18 20: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빈스 케이블 영국 전 상무장관 밝혀
[사진=화웨이]
[사진=화웨이]

[정보통신신문=박남수기자]

"영국 정부가 화웨이 5G 장비와 서비스를 금지했던 결정은 국가안보와 무관하며 미국의 압박으로 부득이하게 내린 결정이었습니다."

빈스 케이블 영국 전 상무장관은 이 같이 밝혔다.

데이비드 캐머런 연립 내각에서 5년 간 상무장관을 역임한 빈스 케이블은 최근 "영국 정부가 화웨이 5G 장비와 서비스를 금지했던 결정은 국가안보와 무관하며 미국의 압박으로 부득이하게 내린 결정"이라는 입장을 전하며, “영국의 안보 부처가 수차례에 걸쳐 화웨이 장비 및 서비스 사용으로 인한 그 어떤 위험도 없음을 담보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케이블 전 장관은 “만약 영국이 (배제없이) 5G를 이어갔다면, 우리는 가장 진보된 기술을 사용하는 국가들의 선두에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영국은 지난 2020년 7월, 화웨이의 5G 제품과 장비 사용을 금지하고 영국 내 화웨이의 완전 퇴출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편, 영국 4대 이동통신사들은 통신 요금을 최대 가격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T그룹, 버진미디어, 보다폰그룹, 쓰리UK 등 영국의 4대 이동통신 사업자는 월간 요금을 인상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인상규모는 10% 내외 또는 그 이상이며, 고객과 기업 간 계약기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예정이다.

이번 가격 인상으로 영국 통신사들은 급증하는 데이터 사용에 대처하기 위해 네트워크 업그레이드에 투자한 수십억 파운드를 회수함과 동시에 가격 경쟁에 대한 제약 등 각종 규제 당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있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경제 전반의 물가 상승을 우려하는 정부 관계자들에게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애널리스트 등 금융 전문가들은 이번 통신료 인상이 생계비 압박을 한층 높이며, 영국 내 경제 전망을 어둡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이미 에너지 요금 인상으로 평균 600 파운드(한화 기준 약 98만 원)의 생계비 가중을 겪고 있는 영국인들에게 이번 통신료 인상은 한층 더 강력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고, 심할 경우 규제 당국과의 갈등까지도 예상된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이번 통신료 인상이 영국 통신사에 가중된 부담을 모두 해소시키기엔 역부족이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런던의 전문 조사기관 엔더스 어낼리시스 소속 애널리스트 카렌 이건은 “이동통신사들이 고비용의 주파수 경매와 5G 업그레이드 비용은 물론, 화웨이 제재로 인해 추가된 비용과 이통사 자체 운영 비용 증가 등 늘어난 비용을 무한히 감당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3-29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