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4 17:41 (수)
국립대 클라우드·5G 도입 가속…민간 기업 반색
국립대 클라우드·5G 도입 가속…민간 기업 반색
  • 김연균 기자
  • 승인 2022.05.23 03: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후 전산망·장비 교체 집중
10월말 138억원 100% 집행

민간 클라우드 이용료 지원
5G 시범 구축 등 7곳 선정

2025년 클라우드 전환 계획
업계 “판로 확대 기대 높아”

[정보통신신문=김연균기자]

전국 국립대학교를 중심으로 민간 기업의 클라우드 도입이 확산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오래되고 속도가 느린 전산망은 고도화 작업을 통해 고속으로 바뀌고 교내 5G 네트워크 구축도 확대된다. 관련 사업을 통해 공공부문 시장 진출을 노리거나 시장 점유를 높이려는 기업에 희소식이란 분석이다.

최근 교육부가 추진 중인 2022년 국립대학 정보통신(ICT) 인프라 구축 계획을 분석해보면 클라우드 전환 지원과 5G 구축 등 고속전산망 구축 사업에 138억원의 예산이 배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해당 사업이 신속집행 관리대상으로 지정돼 오는 6월말까지 65%, 10월말까지 실제 집행률 100%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동안 교육부는 2020년 3차 추경(352억원), 2021년 예산(136억원) 등을 통해 지속적인 국립대학 정보인프라 개선 사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전산망 장비 노후화율은 여전히 높은 실정이다.

국립대학교 내용연수 초과장비 현황을 살펴보면 7년 이상 장비는 2019년 53.4%에서 지난해 24.9%, 10년 이상 장비는 같은 시간 20.6%에서 17.1%로 줄었지만 상당수의 노후 장비들이 국립대학교 내 전산 업무에 배치돼 있다.

최근 클라우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공공부문도 기류에 편승할 수 있는 ICT 인프라를 갖춰야 한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클라우드는 이미 특정 기술을 지칭하는 용어이거나 자원·자산이 아닌, 서비스로 소비하는 패러다임으로 전환 중이다. 민간 기업이든 공공기관이든 정보시스템을 직접 소유, 운영할 필요가 없고, 클라우드컴퓨팅을 활용해 쉽게 다른 업체의 선진적인 시스템을 공유, 임차할 수 있게 됐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과 기획재정부 ‘정보화사업 예산편성 지침’에 따라 국립대학의 노후 전산장비를 첨단 디지털 장비로 교체하기 위한 클라우드 전환 및 5G급 고속전산망·보안장비 고도화 지원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현행 클라우드컴퓨팅법과 기재부 지침은 국가정보화 정책이나 사업 추진에 필요한 예산을 편성하는 경우 클라우드컴퓨팅 도입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먼저 국립대학이 민간 공용(Public)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위한 ‘공공요금 및 제세’ 예산으로 지원한다.

원격수업용 학사관리 운영 플랫폼(LMS) 및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학생·교직원 웹메일, 대학통합홈페이지 등 대학에서 공용 클라우드 전환 가능 업무를 중심으로 우선 지원하며, 예산 규모는 66억원에 이른다.

이외에 공용 클라우드 구축 계획에 따른 연구비(3억원)도 차등 지원된다.

노후 전산망 장비 교체 및 5G급 고속전산망·보안장비 구축 지원도 눈길을 끈다.

교육부는 거점대, 지역중점대, 교육·특수대 등 국립대학을 대상으로 공통비용(50%), 노후화율(10%), 불용처리율(10%) 등을 고려해 차등 지원한다.

구체적으로 2015년 이전에 도입된 전체 정보자원 도입금액 대비 대학급별 도입금액에 대한 해당 대학의 노후화 관리 비율을 계산해 배분하게 된다.

또한 올해 5G 시범 구축을 희망하는 지역대학 한곳을 선정해 5억원 가량을 지원하고, 이미 구축된 6개 대학은 고도화 지원을 받게 된다.

이 같은 소식에 민간 클라우드 전문 기업들이 반색하는 분위기다.

업계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비스가 데이터 보관·정리·분석을 넘어 각종 정보기술 인프라 구축을 돕는 서비스로 확장되면서 공공·민간의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

특히 정부가 2025년까지 8600억원을 투입해 행정·공공기관 정보시스템을 공공·민간 클라우드로 전환하겠다고 밝힌 바 있어 향후 시장 성장 및 판로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24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