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보통신신문=차종환기자]
몇 년 전 사무실로 걸려온 전화가 생각난다. 감사하게도 신문의 열독자셨는데, 자율주행에 대해 할말이 많은 분이셨다.
요는 자율주행은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기술이요, 발생한 사고가 분명히 있는데 언론이 잘 다루지 않아 자율주행의 위험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당시 서울 상암동이 유일한 자율주행 시범지구였는데, 본인은 그쪽으로는 절대 발을 들이지 않는다는 말도 덧붙였다.
언론이 잘 다루지 않는다는 음모론은 잘 모르겠으나, 요즘 같은 SNS 시대에 어디선가 자율주행 사고가 났다면 굳이 보도가 아니더라도 국민들이 알 길은 얼마든지 있지 않을까 싶다.
다만, 그 분의 논리대로라면 이제 대한민국에서 발디디실 곳이 없어지는 건 아닐까 걱정이 앞선다.
최근 국토교통부는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위원회’를 개최해 서울 강남과 청계천, 강원도 강릉 등 7개 신규지구와 광주광역시 등 기존 3개지구 확장신청에 대해 시범운행지구로 확정·고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민간기업은 이 지역에서 자율차를 활용해 여객·화물 유상운송을 할 수 있고, 임시운행허가 시 자동차 안전기준 면제 등 규제특례를 받아 사업목적에 적합한 다양한 자율주행 실증서비스를 추진할 수 있게 된다.
이번에 신규로 지정된 7개지구는 교통이 혼잡한 도심지역(강남, 청계천), 여행수요가 많은 관광도시(강릉, 순천, 군산), 대중교통이 취약한 신도시구간(시흥, 원주)이 포함돼 다양한 사업모델의 실증서비스가 추진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시범운행지구는 1차로 6개 지구를 지정한 후 1개 지구를 추가 지정해 서울 상암, 제주 등 7개지구가 지정됐으며, 이번 지정으로 2년여만에 전국 10개 시·도 14개 지구로 확대될 예정이다.
이미 지정된 세종, 대구광역시 등 6개 지구에서 총 7개 기업이 한정운수 면허를 받아 실증서비스를 일반국민에게 제공했고 경기 판교에서는 하반기에 서비스를 개시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 상암지구 등에서도 서비스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는 전언이다.
하루가 다르게 기술이 발전함을 감안하면, 전화를 받았던 당시 보다 현재 기술적 고도화가 훨씬 잘 이뤄졌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국민들이 안고 있는 불안을 절대 간과해서도 안 될 일이다.
자동차 산업은 일대 변혁기에 놓여있다. 100여년을 이어온 내연기관차가 전기차로 바뀌어가는 시점이요, 자율주행이라는 두뇌를 달아 운전에 얽매이지 않은 새로운 휴식공간으로 탈바꿈할 순간이다. 안전하지 않다면 이 모든 기대가 수포로 돌아갈 것임에 분명하다.
부디 그 분과 같은 자율주행 비관론자의 마음을 돌려 자율주행 예찬론자가 더 많아질 세상이 오기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