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신문=박광하기자]
경기도가 올해 도내 94개 농가를 대상으로 국비 84억원, 도비 11억원 등 총 280억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2022년 축산ICT 융복합 확산사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이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 FTA기금 사업으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모니터링·원격제어 등 자동화 시설·장비를 보급해 노동력과 생산비를 절감함으로써 축산농가의 소득과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목적을 뒀다.
앞서 도는 2021년 9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도내 245개 농가를 대상으로 사전컨설팅, 서류심사, 전문가 심의 등의 절차를 진행한 후, 고양시 등 13개 시군 94개 농가를 최종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축종별로는 △한우 15개 농가 △낙농 51개 농가 △양돈 18개 농가 △양계 9개 농가 △양봉 1개 농가가 선발됐다.
특히 타 시도의 경우 농식품부 사업지침에 따라 국비 30%, 융자 50%, 자부담 20% 비율로 지원하고 있지만, 도는 융자의 40%를 지방비로 지원해 농가의 부담을 덜어 주는 데 주력했다.
이번에 선정된 94개 농가는 축종별 사육두수를 고려해 농가 1곳당 최대 15억원 한도 내에서 축산ICT 융복합 장비를 지원받아 '스마트축사' 조성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인 지원 항목은 생산경영관리 프로그램, 축사 내·외부의 환경 모니터링 및 조절 장비, CCTV(실시간 원격제어, 모니터링 가능 제품에 한함), 원격(또는 자동)제어가 가능한 자동화 장비 등이다.
도는 이번 사업으로 도내 축산농가에 '지능형 축사관리시스템'을 보급·확산함으로써 최적의 사양관리를 도모, '생산성 향상 20%'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영수 경기도 축산정책과장은 "축산ICT 융복합 확산사업은 축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이라며 "환경관리, 사양관리, 경영관리 등 최신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축사시설을 보급·확대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지속하겠다"라고 말했다.
- 경기지역 중소규모 공공 공사현장에 스마트 안전모 도입
- 경기도, 영세기업 15개사 대상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 경기도, 통합 마이데이터 서비스 '경기똑D' 27일 정식 출시
- KISA 경기정보보호지원센터, '경기정보보안협의회' 발족
- 경기북부소방-KT, 바디캠 활용해 재난현장 대응력 강화
- 경기도, 광교 신청사에 재난안전상황실 구축
- 경기도, 메타버스 사업 전환 시도 중기·창작자 지원
- 경기도, 유통산업계 XR·메타버스 기술 도입 지원
- 융복합 게임쇼 '플레이엑스포' 12일 개막
- 경기도, 중기부 지역특화 제조데이터 활성화 사업 '단독 유치'
- 경기도, 광교 신청사에 스마트워크센터 구축
- 경기도, 광교 신청사 이전 마무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