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6:55 (목)
‘주소·위치정보’ 신산업 이끈다…부족한 인프라 ‘관건’
‘주소·위치정보’ 신산업 이끈다…부족한 인프라 ‘관건’
  • 김연균 기자
  • 승인 2022.07.23 20: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글 웨이모·화웨이·네이버랩스 등
고정밀 지도 제작 기술 경쟁 가속
2026년까지 주소정보 인프라 확충

대형 이동통신사·포털 종속 생태계
“영세성 탈피, 산업주도 기업 필요”
GPS·와이파이 측위 환경 영향 커
고정밀 위치가 필요한 신산업에 적용할 지도 제작이 활기를 띄고 있다. [사진=웨이모]
고정밀 위치가 필요한 신산업에 적용할 지도 제작이 활기를 띄고 있다. [사진=웨이모]

[정보통신신문=김연균기자]

우리에게 주소 및 위치는 개인 거주지, 회사 및 건물 소재지 등을 알려주는 간단한 정보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4차산업혁명이 가속화되고 있는 지금, 그 의미가 사뭇 다르게 느껴지고 있다.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연결’이 핵심인 4차산업혁명은 이러한 연결이 ‘어디에’ 있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해졌다.

‘주소·위치정보’는 자율주행차, 드론 물류, 사물인터넷(IoT), 실내 내비게이션 등 신산업에 있어 필수요소다. 글로벌 IT 기업과 정부들이 앞다퉈 주소·위치정보가 포함된 정밀지도 제작에 사활을 거는 이유도 ‘신산업 주도권 확보’로 가는 지름길이기 때문이다.

구글의 자율차 기업 ‘웨이모’는 라이다 기반 고정밀 지도 개발에 집중하고 있고, 중국의 화웨이도 중국 전역 고속도로와 베이징·상하이·광저우·선전 등 4개 도시의 일반도로 고정밀 지도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네이버의 행보가 주목받고 있다.

자회사 네이버랩스는 항공사진을 활용한 3D 고정밀 지도 제작 기술인 ‘하이브리드 HD 매핑’을 고도화하면서 최대 오차범위를 16㎝보다 더 줄이는 데 성공했다.

■자율주행차 등 기술 도입 활발

주소·위치정보는 다양한 신산업 분야에 적용되며 가치를 높이는 중이다.

먼저 자율주행차 고도화에 있어 10~20㎝ 정도의 오차를 갖는 정밀도로지도 구축 기술은 차량의 위치 파악, 차선 파악 등을 위해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특히 정밀도로지도는 기상 악천후·GPS 수신 불량 등의 위급 상황에서 자율주행차의 위치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레이다·라이다 등 자율주행차에 탑재된 센서 탐색 거리보다 먼 거리의 도로 상황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원해 자율주행 센서를 보완한다.

또한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보의 공통 저장소 개념으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동적지도(LDM)에서 기본지도로 활용돼 자율주행을 위한 차세대지능형교통체계(C-ITS) 정보제공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통해 레벨3의 부분 자율주행차 안전도 향상뿐만 아니라 자율주행차량의 판단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는 완전 자율주행차(레벨4~5) 상용화에 있어서도 핵심 인프라로 활용될 전망이다.

무인드론을 활용한 물류시스템 도입을 위해 위치 확인과 방위 확인 기술은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무인드론은 위성이 보내온 전파를 파악해 GPS 모듈을 통해 현재 위치를 알고, 컴퍼스 모듈로 동체가 어느 방향을 향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야 스스로 위치를 재확인하며 지정된 경로대로 비행할 수 있다.

특히 물품배송용 드론은 중앙컴퓨터와 실시간으로 파악된 현재 위치를 교신하면서 고층빌딩이나 나무가 밀집한 지역 등 사고 위험성이 높은 지역이나 대상의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자동으로 해당 위험 지역을 피해 비행하는 방식을 활용한다.

한편 실내 공간정보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위치기반 기술과 솔루션 서비스 산업이 확대 추세에 있다.

실내에서의 위치 확인 및 길찾기는 실외와는 다른 기술을 요구한다.

일반적인 도로에서 GPS를 이용하면 위치 파악이 쉽지만 터널이나 지하 도로에서는 GPS 신호가 잡히지 않아 내비게이션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GPS 기반의 안내 서비스를 활용할 수 없는 실내에서는 비콘(Beacon), 와이파이(Wifi), 가시광 통신(VLC) 등을 이용해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실내 내비게이션 관련 기술에는 △측위기술 △객체화 △공간 셀 △셀 그리드 △증강현실 △실내지도 및 경로정보 구축기술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 등이 포함돼 있다.

■주소정보산업 육성 비전 제시

정부도 주소정보산업을 육성하는 장기 비전을 제시하며 미래 신산업모델 개발에 분주한 모습이다.

최근 발표한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2022~2026년)’에 따르면 사람과 로봇·인공지능(AI)이 인식하는 주소정보 인프라를 2배 이상 확충한다.

현재 16만개인 지상도로 중심의 이동경로에 지하·고가 도로, 내부도로 및 건물의 실내 이동경로 등 48만개의 이동경로를 추가 구축해 현행의 4배로 확충하고, 현재 700만개인 건물 출입구 중심의 배송 접점에 건물과 사물, 공터의 기준점 700만개를 추가 구축해 2배로 확충할 계획이다.

이렇게 구축된 주소정보는 유형화하고 공개 대상도 현행 41종에서 121종으로 대폭 늘려 일반 국민에게 공개·제공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주소정보의 생산·관리에 AI 등 첨단기술을 도입해 자동화하고 품질을 관리하게 된다.

아울러 주소정보가 미래 신산업군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육성·지원한다.

드론·자율주행 로봇 배송, 실내 내비게이션, IoT, 자율차 주차 등 혁신서비스에 공동으로 사용되는 데이터와 인프라를 공공부문에서 구축·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공통비용을 절감한다는 구상이다.

드론 배송, 개인 이동체 내비게이션 등에 필요한 주소지능정보를 현행 11종에서 275종으로 확대해 혁신서비스 창출도 지원하고, K주소를 국제표준화해 브랜드화하고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한다.

한편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처리·보호하기 위한 저장소인 데이터 레이크(data lake)에서 주소정보를 유통하고 융복합해 응용할 수 있는 D.N.A. 생태계도 조성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그동안 지자체별로 서버를 두고 관리했던 ‘주소정보관리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주소정보 플랫폼’으로 통합한다.

맴퍼스의 전자지도. [사진=맵퍼스]
맴퍼스의 전자지도. [사진=맵퍼스]

■중기·스타트업 육성 생태계 필요

개정된 도로명주소법과 위치정보법 시행으로 산업 육성에 필요한 법적 기반은 마련됐다. 법 시행으로 사물 주소, 공간 주소 등 위치표현이 다양화되고, 위치정보사업의 진입규제가 완화됐다.

주소·위치정보 산업이 활성화되면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비롯해 교통, 물류, 자율주행, 드론, 로봇 등 다양한 신산업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기대와 함께 걱정스러운 목소리도 들린다.

특히 이동통신사, 포털사들의 인프라를 활용할 수밖에 없는 산업 구조로 인해 중소기업 육성에 필요한 실효적인 지원이 요구된다는 의견이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종사자수 50명 미만 기업이 56.6%이고, 매출액 50억원 미만 영세사업자가 전체의 51.2%를 차지한다. 업력 7년 미만 스타트업도 전체의 37%를 차지하고 있다. 실제 산업 규모는 엄청난 규모의 성장이 예상되지만, 시장을 이끌 만한 주도적인 기업이 없는 상황이라 성장이 더딜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저변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도 늘려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위치정보 사업자 관계자는 “기지국 기반 인프라를 제외하면 실내·외 환경에서 GPS, 와이파이 등을 활용해 정밀 측위를 제공하기 위한 인프라가 부족한 편”이라며 “기지국은 오차범위가 크고, GPS는 실내 측위가 어려우며, 대형 건물 등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는 경우 정확한 위치 측정에 실패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와이파이는 AP가 설치된 장소에서만 측위가 가능하다는 단점도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3-28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