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9:26 (금)
광대역통합망 구축 '가속도'
광대역통합망 구축 '가속도'
  • 이민규 기자
  • 승인 2007.09.17 09:27
  • 호수 1
  • 1면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7월 894만 가구 BcN 전환…올 목표치 웃돌아
▲ 11∼12일 열린 '제4회 u-인프라 통합 콘퍼런스'.


정부의 광대역통합망(BcN) 구축 사업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7월 현재 894만 가구의 유·무선 가입자망을 BcN으로 고도화한데 이어 오는 2010년까지 2000만 가구(유선 1000만 가구, 무선 1000만 가구)의 BcN 전환을 추진한다는 게 정부가 마련한 로드맵의 골자다.

정보통신부는 11일과 12일 양일간 서울 반포동 메리어트 호텔에서 '제4회 u-인프라 통합 콘퍼런스'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u-인프라 구축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발표내용에 따르면 정통부는 지난 2004년 2월 BcN 기본계획을 수립했으며 2010년까지 3단계에 걸쳐 광대역통합망 구축 사업을 전개할 방침이다.

내년부터 본격 추진될 예정인 BcN 3단계 구축 사업은 광대역 통신 및 방송, 인터넷 통합망을 완성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3단계 사업은 세부적으로 △서비스 △가입자망 △전달망 △서비스·제어망 부분으로 나뉘어 추진된다.

서비스의 경우 IPTV의 상용화 및 본격 확산과 함께 u-워크, u-홈 등의 활성화에 초점이 모아진다. 또 가입자망 부분에서는 유선 1000만 가구, 무선 1000만 가구를 BcN으로 전환하고 광가입자망(FTTH) 및 케이블 모뎀의 국제 표준인 닥시스(DOCSIS) 3.0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전달망의 경우 전국적인 프리미엄 백본 구축을 완성하고 수십∼수백 TPS급 백본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통합 보안플랫폼 구축과 함께 QoS, IPv6, 멀티캐스팅에 대한 전면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서비스·제어망 부분에서는 통신·방송 융합 제어플랫폼을 구축하고 통방 융합 개방형 서비스망도 갖춘다는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이 밖에 BcN 품질관리 및 핵심기술, 관련 법·제도 개선 등에 관한 구체적 내용도 로드맵에 담겨있다.

우선 정통부는 BcN 품질관리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오는 12월 무선 BcN 서비스에 대한 품질지표 및 기준 초안을 수립할 계획이다. 이어 내년 9월에는 IPTV에 대한 품질기준도 마련하기로 했다.

아울러 올해 이용자와 사업자간 품질보증제도 도입에 대해 연구하는데 이어 내년부터는 사업자간 품질 보증제도 도입방안 및 품질분쟁 중재 도입방안에 대한 연구도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BcN 핵심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해 IPv6 및 이동성을 지원하는 QoS 스위치와 라우터를 개발할 계획이다. 또한 100km까지 전송이 가능한 FTTH 기술개발에 초점을 맞춰 WDM-PON 기반 메트로-액세스 통합망 시스템 개발도 추진키로 했다.

이 밖에 초고속정보통신건물 인증제도 등 인프라 인증제의 지속적 개선과 보완을 통해 유선 BcN 가입자망 및 구내망의 광대역화를 촉진할 방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26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