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신문=박광하기자]
서울시가 시정 전 분야 행정서비스에 단계적으로 메타버스를 구축 중인 가운데, 타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한 새로운 협업모델 만들기에 나선다.
서울시는 18일 서울시청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이철우 경상북도지사가 참석한 가운데 '서울시-경상북도 메타버스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메타버스 분야에서 지자체 간 업무협약은 이번이 처음으로, 공동과제 발굴이나 분야별 서비스 개발 등에 함께 나서게 된다.
서울시와 경상북도는 디지털 대전환 시대 차세대 플랫폼으로 떠오른 메타버스를 통해 시·도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하고, 정책·행정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디지털 신대륙'으로 불리며 사회·경제·산업 등 전 분야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메타버스 시대를 선도한다는 목표다.
서울시와 경상북도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5개 분야에서 협력한다. △모범적 메타버스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메타버스 사업 상호 공유 및 기술 증진 협력 △인재·산업·문화·관광 등 분야별 메타버스를 활용한 정책 발굴 및 협업사업 추진 △반기별 '서울&경북 메타버스 협업회의' 개최 △지역 소재 메타버스 기업, 기관, 대학 등 민간 차원 교류 지원 △협업모델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협업체인 '서울&경북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구축 등 지속적인 교류 및 협력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 전국 지자체 최초의 메타버스 중장기 종합계획인 '서울의 신대륙, 메타버스 서울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2025년까지 경제, 문화, 관광, 교육, 민원에 이르기까지 시정 전 분야에 걸쳐 메타버스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우선 올해는 1단계 사업으로, 메타버스 서울 서비스의 관문인 서울시청과 서울광장을 메인 맵으로 구성해 시정 홍보와 시민체험 활동공간으로 조성한다.
온라인교육플랫폼 '서울런'과 연계해 청소년 학습 상담 및 고민을 멘토와 부담 없이 상담할 수 있는 아바타 가상 상담실을 구축한다.
또한, 주민등록등본 등 각종 증명서류를 메타버스 공간에서 신청하고 '서울지갑 앱'으로 발급받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메타버스 120센터도 구성해 실시간 채팅상담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기업홍보와 투자 활성화를 위한 '메타버스 서울핀테크랩', 지방세 세무상담과 예상세액 조회 등을 할 수 있는 '메타버스 택스 스퀘어(Tax Square)' 등도 단계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은 역사와 전통은 물론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서비스', 그리고 '스마트 시티즌'까지 선도적인 글로벌 스마트시티로서의 삼박자를 고루 갖춘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의 스마트도시"라며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서 선제적으로 메타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서울시민과 경상북도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머지않아 디지털 신대륙인 메타버스 시대를 선도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향후에는 모든 관공서, 기업 할 것 없이 메타버스 시대로 갈 것이다. 서울시와 경상북도가 손잡고 메타버스로 새로운 먹거리를 만들고 미래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경상북도는 지난 2월 '다시 대한민국 중심으로! 메타버스 수도 경북'이라는 목표 아래 △메타버스 인재 양성 △메타버스 산업 육성 △메타버스 문화·관광 활성화 △메타버스 특화 서비스-존 조성 등 4대 분야 20개 중점과제를 내놨다.
또한, 지자체 최초로 메타경북 정책자문단 출범 및 메타버스 수도 경북 비전선포식을 개최하는 등 메타버스를 통한 지방정부 대전환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 틸론, 상반기 대규모 공개 채용 실시
- 경기도, 민간전문가와 디지털 전환 정책 마련
- 펜타시큐리티 웹방화벽 '와플', ICSA 인증 획득
- 강원도내 드론 우수기업 경쟁력 제고 지원
- 서울 상수도 수질·공사·누수 실시간 정보 한눈에
- 서울시, 중소·중견기업 고급 AI 개발자 양성교육 실시
- 서울시, AI 인공지능 로봇 대여 사업 올해도 추진
- 서울시, '에듀테크 산업' 육성… 학습 불평등 해소 나선다
- AI 활용 1인가구 건강관리 사업 활발… 중기 참여 배려 절실
- 경북지역 메타버스 산업 활성화 모색
- 개인 간 거래 플랫폼, 건전한 시장 조성 자율규제 첫발
- '와이드밴드갭 중심' 경북지역 K-반도체 전략 확장모델 제시
- 한성백제박물관, VR 전시관람·원격 체험교육 지원
- 서울지역 어르신 디지털 격차해소 교육 활동 개시
- 서울시, ICT 활용 '안심귀가택시서비스' 사업 추진
- 서울지역 수전 66만개 2030년까지 '스마트 원격검침' 전환
- '스마트플러그'로 장기간 전기 미사용 가구 안전 신속 확인
- 서울시, '메타버스 서울' 사전 체험공간 오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