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신문=박광하기자]
인천시민 10명 중 7명 이상이 인천e음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공공은행'의 설립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광역시는 19세 이상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천e음 플랫폼 이용 및 인천 공공은행 설립에 대한 시민인식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최근 밝혔다.
인천시 소통협력분야 시민만족도 조사의 일환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의 92.2%는 인천e음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고, '지역 소상공인의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된다'고 답한 응답자도 90.3%에 달했다.
인천e음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지역 공공은행의 설립에도 응답자의 73.3%가 동의했다.
공공은행을 통해 기대하는 효과로는 '지역 자금의 지역 내 재투자와 경제 선순환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78.6%)'와 '시중은행에 비해 중소기업·소상공인·서민 등 지역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지원 강화(77.4%)' 등을 꼽았다.
인천e음이 지역화폐 기능 이상의 서비스를 갖춰 나가야 한다는 응답도 69.4%를 기록했다.
특히 의료기관 예약 및 추천 서비스(52.6%), 송금 등 금융 서비스(48.6%), 부동산 정보 제공 서비스(22.5%) 등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현재 인천e음 앱에 탑재된 '배달e음', '인천직구', 'e음 장보기', 'e음택시' 등의 부가서비스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존재를 몰랐거나(35%), 알고 있더라도 사용 경험은 없는(52%) 것으로 조사돼 개선 필요성이 드러났다.
이종우 인천시 시민정책담당관은 "지속가능한 인천e음 사업을 위한 활성화 방안과 인천e음 플랫폼을 인천 공공금융 플랫폼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가칭)인천e음뱅크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했다"라며 "이번 조사결과를 관련부서와 공유해 경제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시민인식조사는 온라인 및 전화를 통해 만 19세 이상 인천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달 31일부터 3일간 조사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 인천시, 지역 소프트웨어 선도기업 육성 추진
- 인천시,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분석 경진대회 개최
- "드론이 농사꾼이네!" 파종부터 방제까지 척척
- 인천형 스마트폴 구축… 원도심 공원 스마트하게 변신
- 인천지역 도시문제 해결 위한 시민참여·스마트 기술 활용 독려
- 인천시, 서울2호선 청라 연장 사업화 방안 수립 착수
- 인천시, 미래우주탐사 핵심기술 개발로 우주산업 육성
- '인천스마트선박안전지원센터' 공사 현장 점검
- 2022년 제5회 인천게임포럼 21일 개최
- 인천시·연세대, 양자컴퓨팅 센터 인천 송도 유치 본격화
- 인천시-만도, 로봇산업 발전 협력
- 서울 7호선 청라연장선 건설공사 협력 '맞손'
- 인천시, AI 기반 스마트공장 모델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