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9:26 (금)
“선박의 디지털 전환은 대세, 국내 시장 벗어나야”
“선박의 디지털 전환은 대세, 국내 시장 벗어나야”
  • 김연균 기자
  • 승인 2023.11.10 17: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로벌 시장 2027년 145조 규모
통신장비 분야 12.3% 성장 기대

시장 점유율 ‘1.1%’ 국내 현주소
‘기술력 부족·낮은 인지도’가 원인

해상통신 등 핵심기술 42개 확보
시장점유 4.5% 확대 방안에 주목

[정보통신신문=김연균기자]

정보통신기술(ICT),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선박도 기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빠르게 전환 중이다. KISTEP 등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5.5%에서 2027년 55.0%로 향후 선박의 디지털화 비중이 약 19.5%p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산업 육성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범위.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범위.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범위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은 선박과 그 운용·관리 전반에 첨단 ICT를 적용해 선박과 육상 간 데이터 연계·활용 등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을 통칭한다.

해당 산업의 범위를 분류하면 △디지털 선박장비 제조·관리 △데이터 플랫폼 및 디지털 서비스 △해상 디지털 통신·인프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지털 선박장비 제조·관리 분야에는 △선박 자율운항 장비(데이터 연계·저장·처리장치) △디지털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장비 △친환경 디지털 솔루션 및 기관장비 △기기 지능화·자동화 장비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 플랫폼·디지털 서비스 영역은 △선박·육상 데이터 플랫폼 △해~육상 연계 디지털 정보 클라우드 △빅데이터 수집·분석·판매 △선박·선원·물류관리 서비스 등으로 구성되고, 해상 디지털 통신·인프라는 △바다내비 해상망 △차세대 선박 통신장비(지상파·위성) △해~육상 연계 통신시스템 구축·운영 △사이버 안전 대응기술 장비 등이 포함된다.

■국내·외 시장규모 및 산업 진단

디지털 기술은 친환경·자율운항 등 새로운 기술과 접목돼 선박을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며 효율적인 교통수단으로 진화시킬 핵심요소로 평가받으면서 관련 시장 규모를 확장시키는 데 일조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앤마켓 등은 세계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이 2023년 106조원에서 2027년 145조원 규모로, 연평균 8% 성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7년 분야별 규모는 디지털 선박장비 분야가 72조원으로 49.7%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됐으며, 서비스 분야는 62조원(42.7%), 해상통신은 11조원(7.6%) 규모로 예측됐다. 특히 이들 시장조사기관들은 △친환경 선박과 관련된 디지털 솔루션(20%↑) △선박관리 소프트웨어(11.2%↑) △통신장비(12.3%↑) 분야의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힌 바 있다.

국내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도 같은 기간 1조2000억원에서 1조5000억원(연평균 7.7%)으로 성장이 예측되지만 세계 시장을 주도하기엔 역부족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국내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관련기업은 약 1만3000개로, 대기업 50개(0.4%), 중견기업 299개(2.2%), 중·소기업 1만3350개(97.5%)로 구성돼 있다.

선박설비 분야에서 대형 조선사는 지속적인 기술개발로 수주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반해 중소 제조사는 기술개발 여건 부족과 낮은 인지도로 제품수출에 애로사항이 많다.

서비스 분야는 제조사별로 선박장비의 데이터 형식이 상이해 선내 데이터를 통합‧활용하거나 서비스 개발에 한계가 있으며, 해상통신은 국내 수요자 중심으로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투자는 부족한 상태다.

■기술개발·세제지원 등 지원 다각화

그동안 정부는 연안 최대 100㎞내 LTE급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고, 연안선박을 대상으로 바다내비 서비스 제공 및 114개 기업에 기술개발 등 지원을 유지하고 있지만, 관련 업계는 역량 강화와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다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기술개발 △금융·세제지원 △수출지원 △인력양성 등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이다.

최근 정부는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의 현주소를 인지하고 ‘글로벌 디지털 해양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비전의 핵심은 매출 100억원 이상 중소 수출기업을 2027년까지 21개로 육성하고, 42개 핵심기술을 확보해 세계시장 점유율을 현재의 1.1%(1조2000억원)에서 4.5%(6조5000억원)까지 확대한다는 데 있다.

우선 국내 유망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스타트업에 대한 안정적인 투자 기반 마련 및 공공부문의 마중물 역할을 통한 수요를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200억원 규모의 해양신산업펀드를 활용해 친환경·첨단 선박, 블루푸드, 해양레저관광, 해양바이오, 해양에너지 등 해양신산업 분야에 자금을 지원하고, 기술개발 활성화를 위해 연구·인력개발비에 대해서는 30~40% 세액공제 혜택을 주기로 했다.

또 연간 중소기업제품 물품구매액의 15% 이상 의무구매 대상에 국내 선박용 디지털·통신 관련 장비를 포함시켜 공공수요 확대를 이끌어 낸다는 계획이다.

정부의 산업 육성전략에는 디지털 장비(8개), 데이터 플랫폼(25개), 해상통신(9개) 등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2300억원을 투입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핵심기술에는 △지능항해장비 및 기관자동화장비 △글로벌 호환 항해·통신장비(ECDIS 등) △전기·하이브리드 추진장비 △항내 자동계류 시스템 △인공지능 기반 항만연계 운송 최적화 기술 △해사메시지교환(Maritime Messaging Service) 플랫폼 △선내 무선통신 및 선박 간 직접통신 기술 △이기종(異機種) 통신망 통합운영 기술 △VDES 지상 및 위성 통합 모뎀 기술 등이 거론되고 있다.

또한 해운선사·장비제조·통신사간 협업을 토대로 39개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서비스 개발에 1200억원이 투입된다. △선박 안전·교통 관리 및 선박 탄소배출량 저감 서비스 △선원·여객 원격 건강관리 및 기기 원격관리 서비스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추적·관리 서비스 △위험화물 원스톱 검사 및 정보 공유 서비스 등이 개발될 전망이다.

한편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이 자생할 수 있도록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 △디지털 선박 건조수요 창출 △전문인력 양성 등도 주요 과제로 추진된다.

내년부터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해 스타트업 등 혁신기술을 보유한 기업과 대기업 간 오픈 이노베이션 협업사업을 지원하고, 기업 간 협업을 통해 신제품이나 서비스를 창출할 경우 기업당 사업화자금을 최대 1억원까지 지원한다.

정부 중심의 바다내비 체계를 오픈 플랫폼으로 구축해 기업의 서비스 개발 등 수익창출 기회를 제공한다. 현재 해양수산부가 바다내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법령 제·개정을 통해 민간기업의 서비스 개발·제공을 보장키로 했다.

디지털 해상교통정보기술 R&D 사업을 활용해 차세대 디지털 장비개발 등을 위한 전문인력 약 100명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한 디지털 선박 운용능력 제고를 위해 선박안전관리사, 스마트 해상물류 관리사 등 시험과목에 ICT 관련 사항을 포함한다. 2024년부터 2027년까지 4년간 선박안전관리사 6000명, ICT해양모빌리티 5000명 양성을 목표로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26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