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공제조합이 신용평가 활성화를 위한 '신용평가 3050' 전략을 수립하고 조합원의 안정적인 경영을 전폭 지원할 방침이다. 사진은 15일 열린 제34회 정보통신공제조합 정기총회 기념 촬영 모습.
정보통신공제조합이 신용평가 활성화를 위한 '신용평가 3050' 전략을 수립하고 조합원의 안정적인 경영을 전폭 지원할 방침이다. 사진은 15일 열린 제34회 정보통신공제조합 정기총회 기념 촬영 모습.

[정보통신신문=최아름기자]

정보통신공제조합이 신용평가제도 활성화를 통해 조합원의 안정적 경영을 뒷받침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신용평가는 조합원의 재무·비재무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정확한 신용상태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기업의 가치를 면밀하게 분석해 산출된 신용평가 등급은 보증 및 융자거래 시 보증한도와 보증수수료 요율, 융자한도 등을 결정하는 기준이 된다.

신용평가제도의 가장 큰 장점은 연대보증인을 세우지 않더라도 조합과의 보증 및 융자거래가 가능해 진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조합원은 연대보증에 따른 부담을 덜고 예측 불가능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증서 발급 시 추가 담보를 제공하지 않아도 되며(고액보증은 제외), 신용평가 등급과 한도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이에 이재식 이사장은 지난해 취임 후 신용평가제도 활성화로 연대보증인의 피해를 예방하는 것을 핵심공약으로 제시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조합은 지난해 '신용평가 3050' 전략을 수립하고 구체적인 성과를 구현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그 결과 신용평가 약정률은 '신용평가 3050' 시행 전인 지난해 3월 25일 기준 12.9%에서 12월 31일 기준 33.2%까지 큰 폭으로 늘었다.

'신용평가 3050' 전략은 신용평가 이용률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오는 2023년까지 신용평가약정 비율을 50%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목표를 달성하게 되면 내년 말에는 조합원의 절반 이상이 신용평가제도를 이용해 조합과 보증 및 융자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저작권자 © 정보통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