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신문=박광하기자]
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가 자치경찰 시행 2년 차인 올해 '시민과 함께하는 자치경찰, 더 안전하고 행복한 부산'을 목표로 본격적인 시민 중심의 맞춤형 치안 활동을 추진한다. 특히, 보행자 안전 확보를 위해 '보행자 보호 스마트경고시스템 운영'에 나선다.
위원회는 공동체 치안, 사회적 약자 안전보호망 강화, 사람이 우선하는 교통환경 조성 등을 역점과제로 하는 2022년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최근 발표했다.
위원회는 자치경찰제 도입에 따라 설치된 합의제 행정기관으로 지난해 5월 6일 출범한 이후 자치경찰제가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노력했다.
특히, '맞춤형 치안시책' 등 시민 중심의 정책 추진을 위해 올해 총 105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고, 시비 투입률이 전국 최대인 예산의 38%(40억원)에 달한다. 부산시와 부산시의회의 '부산형 자치경찰' 성공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추진하는 교통 분야 주요 업무로는 '사람이 우선하는 교통환경 조성'을 목표로 △보행자 보호 스마트 경고시스템 운영 △사람이 안전한 교통문화 정착 △사고 위험 터널 구간단속 확대 등 교통문화 개선과 함께 교통 인프라 구축을 동시에 추진한다.
보행자 보호 스마트 경고시스템 운영 사업은 교통사고 취약지역의 스마트 시스템을 구축해 교통약자인 어르신, 아동 등의 보행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운전자·보행자에게 보행자 횡단 상황, 차량주행 상태 등을 영상 정보로 제공하는 것이 사업의 골자다.
올해 사업비 2억원을 투입해 4곳에 시스템을 설치할 계획이다.
지역사회 공동체와 함께하는 '공동체 치안'을 통해 범죄와 사고가 없는 시민의 평온한 일상을 보장하기 위해 △치안리빙랩 등 주민참여형 정책 수립 △범죄예방 인프라 확충 △주취자·정신질환자 대응체계 고도화 등 정책을 펼쳐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스토킹 피해자 보호·지원 협의체 운영 △행복한 가(家) 희망드림 프로젝트 △아이사랑 부모교육 등 관계기관 간 연계·협업 강화를 통해 사회적 약자 보호 안전망도 한층 강화해나갈 예정이다.
위원회는 이러한 중점과제 추진과정에서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개방형 실무협의회' 운영과 양방향 홍보활동 등으로 '참여형 자치경찰'을 구현함으로써 경찰행정의 민주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정용환 부산시자치경찰위원장은 "작년 한 해가 자치경찰제가 성공할 수 있는 토양을 다지는 시간이었다면, 올해부터는 시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맞춤형 치안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2030 세계박람회 유치 등을 앞두고 안전이 부산의 경쟁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어린이보호구역 과속·불법주정차 단속카메라 345대 추가
- 경기도 자율주행센터, 자율주행 공공데이터 180만건 개방
- 경찰청, "신호등 빨간불에도 잔여시간 표시" 지침 개정
-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용 보행신호 음성안내 보조장치 개발·도입 근거 마련
- 부산시, 동북아 스마트 물류 플랫폼 구축 추진
- 부산지역 중소기업 디지털 전환 지원
- 부산혁신도시 지역상생 위한 '부산지역인재 장학금' 설립
- "2029년까지 도시철도 오시리아선 조기 구축"
- "부산항 안전사고 제로로!" 컨테이너 정렬상태 모니터링 안전기술 특허 출원
- 빅데이터 분석해 범죄 예측‧대응…스마트치안 ‘주목’
- 알앤지글로벌 '눈높이 신호등', 센서·빛·소리로 교통안전 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