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신문=박광하기자]
사이버위협 고조에 따라 공공·민간분야 사이버위기경보가 상향 조정됐다.
국가정보원은 최근 사이버위협 상황을 반영해 3월 21일 오전 9시를 기해 공공분야 사이버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조정키로 했다고 밝혔다.
사이버위기경보는 '사이버안보업무규정' 제15조에 따라 각종 사이버공격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파급영향, 피해규모 등을 고려해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 4단계로 발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 부처 및 지자체, 공공기관 등은 △자체 '긴급대응반' 가동 △자체 매뉴얼에 따른 기술·관리적 보안대책 시행 등 사이버대비 태세를 강화하고, 소속·산하기관 조치사항을 종합해야 한다.
국정원은 "이번 '주의' 단계 상향 조치는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관련 사이버전(戰) 확대 △러시아 경제제재 참여국 대상 사이버보복 우려 △정부 교체기 신(新)정부 정책자료 입수 목적 해킹시도 우려 등 사이버안보 위해 가능성 고조에 따른 선제적 대응조치"라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위기 경보는 상향 조정하되, 코로나 상황에 따른 각급기관의 인력운용 부담을 고려해 기관 자율적으로 인력 증원 등 대응 수준을 결정토록 하고 사이버위협 완화 판단 시 '주의' 경보를 신속히 하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과기정통부도 국내·외 사이버위협 우려가 고조됨에 따라 선제적이고 체계적인 대응을 위해 3월 21일 오전 9부로 민간 분야 국가 사이버위기 경보를 '관심'에서 '주의'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주의' 단계로의 상향에 따라 △민·관·군은 사이버위협 정보공유 등 상황발생 대비 24시간 비상대응체계 강화 △기관·기업은 사이버위협 모니터링 강화와 함께 정보시스템 취약점 사전점검 및 조치 △시민들은 사회적 이슈 등을 악용한 스미싱 주의 등 정보보안수칙 준수 △사이버위협 징후 또는 피해 발생 시 즉시 신고 등을 당부했다.
- "사이버 공간서 테러 선동·모금 활동 강화 우려"
- 국가정보원, 공공분야 IT보안제품 취약점 해킹 대응체계 마련
- [기자수첩] 사이버전쟁 억지력 준비돼 있나
- 양천구, 재택근무 지원 시스템 위한 틸론 VDI 솔루션 구축
- "사이버안보가 위험하다" 정보기관 조사 권한 부여 절실
- 방산 중소·협력업체 기술보호체계 구축·운영 지원
- 펜타시큐리티, 암호화 키 관리 시스템 '디아모 KMS V4' 출시
- 안보범죄정보협력 전산공유체계 구축
- 국정원, IoT 장비 악성코드 감염 대응 조치 나서
- 정보보호제품 공공 납품, 'CC인증' 없이 '보안기능 확인서'로 가능
- 국방부, 국방 사이버방호태세 등급 격상
- 케이엠에스, 블랙베리 바이너리 통합 보안 솔루션 공급
- 국정원, 주요기관 대상 사이버 취약점·대비태세 점검
- 가상자산 해킹 피해 예방 위해 민·관 맞손
- 국정원, 나토 사이버방위센터 주관 '락드쉴즈 2022' 참가
- 국가정보원, 안보전시관 관람 재개
- 한국, 아시아 최초 '나토 사이버방위센터' 정회원 가입
- 한국, 나토 사이버방위센터 정회원 가입 '국기게양식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