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신문=박광하기자]
경기도가 광교 신청사 이전에 맞춰 신청사 내에 재난안전상황실을 구축했다고 20일 밝혔다.
광교 신청사 2층에 조성된 재난안전상황실은 기존 도청사 상황실보다 약 3.8배 확대된 723㎡ 규모로 조성됐다.
집중호우, 태풍, 화재, 감염병 등이 동시에 발생하더라도 대응이 가능하도록 재난안전 제1상황실 외에 제2상황실을 별도로 구축했고 근무자 좌석도 기존 43석에서 130석으로 확대했다.
또한, 상황실과 영상회의실을 분리 설치해 소음과 보안문제를 해결했다.
상황관제시스템은 초고선명(UHD)급 해상도의 실내 LED 대형 전광판 설치로 보다 선명한 재난감시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모니터링이 가능해져 각종 재난에 보다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청사 재난안전상황실은 여름철 자연재난대책기간(5월 15일~10월 15일)에 맞춰 15일부터 본격 운영될 계획이다.
현재, 전국 지자체에서는 구축 이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서 노후화된 재난안전상황실이 다수 있는 상황이다.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업계에서는 이들 노후 상황실에 대한 설비 교체 등이 이뤄져야, 국민의 생명·재산 보호가 효과적이고 신속하게 이뤄질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재난 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각종 센서 기반의 사물인터넷(IoT) 측정 장비, 200만 화소급 Full HD 이상의 CCTV 카메라 등 관련 설비의 고도화가 필요하다고도 지적했다.
관련기사
- 경기도, 메타버스 사업 전환 시도 중기·창작자 지원
- 경기도, R&D 사업에 중앙정부 연구비관리시스템 연동
- 경기도-네이버제트-CJ ENM, 메타버스 게임 제작 기업 모집
- 경기도, SW미래채움 창업 아카데미 운영
- 경기도, '공공데이터 활용·분석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 경기지역 중기 산업기술 해외유출 방지 맞손
- 경기도, 통합 마이데이터 서비스 '경기똑D' 27일 정식 출시
- 경기도, 영세기업 15개사 대상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 경기지역 중소규모 공공 공사현장에 스마트 안전모 도입
- 경기도, 스마트 축사시설 보급·확대에 280억 투자
- 경기도, 유통산업계 XR·메타버스 기술 도입 지원
- 경기도, 중기부 지역특화 제조데이터 활성화 사업 '단독 유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