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4-26 12:49 (금)
KAIST, 상처 치유되는 로봇 피부 개발
KAIST, 상처 치유되는 로봇 피부 개발
  • 최아름 기자
  • 승인 2022.06.09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신호 처리
누름, 두드림, 쓰다듬기 ‘구분’
찢어져도 쉽게 기능 회복
의수‧의족 피부로 활용 기대
김정 교수 (KAIST), 박경서 박사 (KAIST), 육현우 박사 (KAIST), 양민진 박사과정 (KAIST), 조준휘 박사과정 (KAIST), 이효상 교수 (Univ. of Stuttgart.) (좌측부터). [사진=KAIST]
김정 교수 (KAIST), 박경서 박사 (KAIST), 육현우 박사 (KAIST), 양민진 박사과정 (KAIST), 조준휘 박사과정 (KAIST), 이효상 교수 (Univ. of Stuttgart.) (좌측부터). [사진=KAIST]

[정보통신신문=최아름기자]

사람의 피부처럼 다양한 외부 촉각을 인지할 뿐만 아니라 상처도 회복할 수 로봇 피부가 국내 기술로 개발됐다.

KAIST는 김정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메사추세츠 공과대학(MIT), 슈투트가르트 대학교(Univ. of Stuttgart)의 연구자들과 공동연구를 통해 `넓은 면적에 대해 다양한 외부 촉각 자극을 인지할 수 있으며, 칼로 베어져도 다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로봇 피부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관련 논문의 제 1 저자는 박경서 KAIST 박사다.

로봇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로봇 대부분은 딱딱한 소재의 외피를 가지며, 인간과의 물리적 교류를 터치스크린과 같은 특정한 부위로 제한하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의 로봇 촉각 기술로는 인간의 피부처럼 부드러운 물성과 복잡한 3차원 형상을 가지고, 동시에 섬세한 촉각 정보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로봇 피부를 개발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생체모사 다층구조 개념도와 특징 (충격흡수, 촉각 인지, 대면적 확장성, 치유능력). [사진=KAIST]
생체모사 다층구조 개념도와 특징 (충격흡수, 촉각 인지, 대면적 확장성, 치유능력). [사진=KAIST]

또한, 사람의 피부는 날카로운 물체에 베여 절상 혹은 열상이 발생하더라도 신축성과 기능을 회복하는 이른바 치유 기능을 하고 있으며, 이는 현대 기술로 재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사람과 로봇의 다양한 수준의 물리적 접촉을 중재하기 위해 부드러운 물성을 가지면서 다양한 3차원 형상을 덮을 수 있는 대면적 촉각 로봇 피부 기술이 필요하다.

김정 교수 연구팀은 이러한 로봇 피부를 만들기 위해 생체모사 다층구조와 단층촬영법을 활용했다. 이 기술들은 인간 피부의 구조와 촉각수용기의 특징과 구성 방식을 모사해, 적은 수의 측정 요소만으로도 넓은 3차원 표면 영역에서 정적 압력(약 0~15㎐) 및 동적 진동 (약 15~500㎐)을 실시간으로 감지 및 국지화하는 것을 가능케 했다. 기존의 터치스크린 기술은 해상도를 높일수록 필요한 측정점의 수가 증가하는 데 비해, 이번 기술은 넓은 수용영역을 갖는 측정 요소들을 겹치게 배치해 수십 개의 측정 요소만으로도 넓은 측정 영역을 달성할 수 있다.

생체모사 다층구조 개념도와 특징 (충격흡수, 촉각 인지, 대면적 확장성, 치유능력). [사진=KAIST]
전기 임피던스 단층촬영법 기반의 느린 촉각 측정. [사진=KAIST]

연구팀은 측정된 촉감 신호를 인공지능 신경망으로 처리함으로써, 촉각 자극의 종류(누르기, 두드리기, 쓰다듬기 등)를 분류하는 것도 가능함을 선보였다. 더 나아가, 개발된 로봇 피부는 부드러운 소재(하이드로젤, 실리콘)로 만들어져 충격 흡수가 가능하고,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깊게 찢어지거나 베여도 피부의 구조와 기능을 손쉽게 회복하는 것이 가능했다.

연구진은 본 기술이 넓은 부위에 정교한 촉각 감각뿐만 아니라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물성과 질감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로봇과 같이 사람과의 다양한 접촉과 상호작용이 필요한 응용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예를 들면 점점 대중화되는 식당 서빙 로봇이나 인간형 로봇에 적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로봇 피부를 의수‧의족의 피부로 사용한다면 실제 사람의 손‧다리와 똑같은 외형과 촉감 감각을 절단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인간형 로봇이 사람과 똑같은 기능과 외형의 피부를 가지고, 상처가 나더라도 피부의 기능을 복구하는 치유 능력을 갖게 할 수도 있다.

수동음향 단층촬영법 기반의 촉각 국지화 원리 및 결과. [사진=KAIST]
수동음향 단층촬영법 기반의 촉각 국지화 원리 및 결과. [사진=KAIST]

김정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인간과 로봇이 같은 공간에 공존하기 위한 필수 기술인 대면적 로봇 촉각 피부를 개발했을 뿐만 아니라 현재 기술보다 월등한 사람의 피부감각 혹은 촉각의 성능에 비견할 만한 기술을 구현한 데 큰 의의가 있다ˮ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양민진, 조준휘 KAIST 기계공학과 박사과정과 메사추세츠 공과대학(MIT)의 육현우 박사, 슈투트가르트 대학교(Univ. of Stuttgart)의 이효상 교수가 공동연구자로 참여했다.

로봇 피부의 수리 및 기능 복구 결과. [사진=KAIST]
로봇 피부의 수리 및 기능 복구 결과. [사진=KAIS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인터넷 신문 등록 사항] 명칭 : ㈜한국정보통신신문사
  • 등록번호 : 서울 아04447
  • 등록일자 : 2017-04-06
  • 제호 : 정보통신신문
  • 대표이사·발행인 : 함정기
  • 편집인 : 이민규
  • 편집국장 : 박남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308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 정보통신신문사
  • 발행일자 : 2024-04-26
  • 대표전화 : 02-597-8140
  • 팩스 : 02-597-822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민규
  • 사업자등록번호 : 214-86-71864
  • 통신판매업등록번호 : 제 2019-서울용산-0472호
  • 정보통신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11-2024 정보통신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koit.co.kr
한국인터넷신문협회 인터넷신문위원회 abc협회 인증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