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신문=최아름기자]
방송통신위원회는 27일 메타버스 생태계 이용자 보호 정책 추진단 전체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1분과(정책)와 2분과(산업)가 모두 참석하는 회의로, 메타버스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합리적인 이용자 정책을 도출하고자 진행해 온 메타버스 생태계 참여자 인식조사 결과를 공유하는 한편,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디지털 공동체 발전방안’ 방향에 대해 네이버, 카카오, SKT, 메타 등 관련 사업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메타버스 이용자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메타버스의 장점(5점 만점)은 ‘다양한 환경의 사람들과 만날 수 있다’가 3.78점, ‘현실에서 하지 못하는 다양한 일들을 할 수 있다’가 3.72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메타버스 이용 시 제한이 필요한 콘텐츠는 ‘성적 콘텐츠’(25.1%), ‘혐오 표현 및 괴롭힘’(20.3%) 순으로 많았다.
또한, 윤리원칙의 필요성(5점 만점)에 대해서는 메타버스 운영자가 지켜야 할 윤리원칙의 필요성이 4.23점, 크리에이터가 지켜야 할 윤리원칙의 필요성이 4.20점으로 나타났다.
방통위는 10월 개최 예정인 전체 회의 후, 그간 논의된 의견 등을 토대로 협력적 자율규제 기반의 메타버스 이용자 보호 기본원칙 등 메타버스 이용자 보호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메타버스 생태계의 바람직한 이용환경 조성 방안을 담은 ‘메타버스 디지털 공동체 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추진단을 지난 1월 출범시켰고 이후,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개 컨퍼런스, 1분과(정책)·2분과(산업) 회의 등을 개최해 메타버스 내 이용자 보호 정책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해왔다.
- 부산시, 'K-ICT Week in BUSAN 2022‘ 개최
- CJ ENM, VR콘텐츠 제작 스타트업 ‘어메이즈VR’ 투자
- 엔씨소프트, 2022 신입사원 공개채용 설명회 10월 5일 개최
- 에프엑스기어, 소프텍코퍼레이션과 125억원 규모 계약 체결
- 응원팀 채팅방서 스포츠 중계 함께 보며 토론한다
- KT-연세의료원, 난청 아동 지원 ‘소리찾기’ 20년 기념식
- KT, ‘워킹데드’ 제작사와 독점 파트너십
- 7월 건강프로그램-홈쇼핑채널 연계편성 754회 달해
- 방송 공동제작으로 콘텐츠 해외 진출 기회 넓힌다
- 상반기 휴대전화 스팸, 전반기 대비 감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