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 및 금융 분야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이어지고 있어 국민 불안이 증폭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해킹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통신 및 금융 분야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이어지고 있어 국민 불안이 증폭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해킹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정보통신신문=김연균기자]

최근 SKT 유심정보 유출, KT 무단 소액결제 사건, 롯데카드 서버 해킹 등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통신과 금융은 경제와 사회를 지탱하는 근간이기도 하지만 일상에서 매일 사용하는 필수 서비스라는 점에서 충격을 주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최근 5년간 국내기업에 대한 사이버 해킹 무려 6447건에 달한 것으로 밝혀졌다. 더 큰 문제는 해마다 사이버 해킹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해킹은 2021년 640건에서 2024년 1887건으로, 3년간 약 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는 8월 기준으로 1501건이 신고돼 연간 해킹 피해 건수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매년 사이버 해킹의 피해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우리 기업의 피해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큰 타격을 초래한다.

최근 5년간 사이버해킹 총 6447건 중 중소기업의 피해가 5286건으로 전체의 약 82%를 차지했다. 대기업과 달리 보안 투자 여력이 제한적인 중소기업들은 사이버 해킹 문제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대기업을 상대로 한 사이버 해킹 사례가 작년 동기 대비 늘어난 점도 주목할 만하다.

2025년 8월 기준 53건에 달해, 작년 한 해 동안 집계된 사이버 해킹 건수에 육박했다. 반도체, 이차전지 등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첨단산업이 해킹에 노출된 것으로 분석된다.

피해유형별 현황을 살펴보면, 시스템 해킹과 DDos 공격으로 인한 침해사고는 2021년 각 283건, 123건 대비 2024년은 각 1373건, 285건으로 증가했다. 특히 시스템 해킹으로 인한 사고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반면 악성코드 감염·유포는 2021년 234건 대비 2024년 229건으로 감소 추세에 있다.

김동아 의원은 “매년 사이버 해킹 시도가 늘어나며 국내기업의 기술과 영업비밀들이 위협을 받고 있다”며 “중소기업의 사이버 위협 대응 역량을 높이고 기술 보호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이버 해킹은 개별 기업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 사안”이라며 “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과 함께 중소기업을 위한 보안 인프라 확충과 지원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기업 신고 없이도 직권 조사를 진행하고 보안 의무 위반 제재를 강화하는 등 통신·금융권 정보보호 체계를 전면 재정비한다는 방침이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지난 22일 ‘통신사 및 금융사 해킹사고 관련 긴급 현안점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대규모 해킹 재발 방지를 위해 ‘해킹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이 자리에서 김민석 국무총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위원회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강구하고, 사고가 발생한 원인은 무엇이며, 사업자의 보안관리 체계상 미흡한 점이 없었는지 철저히 조사할 것을 지시했다.

김민석 총리는 “유사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무엇보다 정보보호 대책 마련을 최우선으로 두고, 관계부처 장관들은 이번 사태의 수습과 해결에 해킹과의 전쟁에 임한다는 각오로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국가안보실은 과기정통부, 금융위, 개인정보위, 국정원 등과 함께 범부처 ‘정보보호 종합대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료=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 한국인터넷진흥원]
[자료=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 한국인터넷진흥원]

 

저작권자 © 정보통신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