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신문=차종환기자]
부산광역시가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을 위한 사업법인을 설립하고 미래 스마트라이프 실현을 위한 핵심 기반 구축에 나선다고 밝혔다.
시는 부산 강서구 일원에서 추진 중인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공공과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새로운 도시개발 모델을 통해 안전하고 편리한 스마트도시 구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업 시행을 총괄하는 '스마트시티부산 주식회사(대표 이계형)'는 부산시·한국수자원공사·부산도시공사의 공공부문과 LG CNS·신한은행·현대건설 등 11개 기업으로 구성된 민간 컨소시엄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특수목적법인이다.
사업법인은 향후 5년간 국가시범도시 예정지 내 선도지구 조성과 다양한 스마트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로봇 혁신 기술을 우선 도입해 교통·생활·에너지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첨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조성 사업’은 국토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사업으로, 사업 기간은 구축 5년, 운영 10년을 포함한 총 15년이다.
전체 사업 규모는 약 5조6000억원이다. 여의도와 비슷한 2.8㎢(약 84만평) 규모의 백지 부지에 상업·업무·주거·문화 시설 등을 구축하고 첨단 ICT를 적용해, 지속 가능한 미래 스마트시티 대표 모델을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법인에서 발생하는 수익은 스마트서비스 고도화·신규 서비스 개발 등에 전액 재투자해 민간의 창의적 비즈니스 모델을 도시 운영에 반영하는 민·관 공동사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올해 본격화된 시범도시 조성의 첫 단계로, 공동주택 중심의 생활밀착형 로봇 서비스 4종이 시범 도입되고 있다.
스마트시티부산㈜은 △순찰 △바리스타 △짐캐리 △청소 등 4종 로봇 서비스를 아파트 단지 2곳에서 시범 운영 중이며, 이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로봇 통합 관제 플랫폼을 도입해 다양한 로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최초의 사례다. 향후 서비스 범위를 확대하고 고도화해 시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스마트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디지털트윈 전문기업 이에이트(E8)도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고도화에 한몫을 담당하고 있다.
도시 전역의 지형·시설·설비·센서·교통·환경 데이터를 통합·모델링하며, 이를 통해 도시 운영을 분석·예측·시뮬레이션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특히 E8의 강점인 온톨로지 기반 데이터 구조화 기술이 다양한 도시 서비스를 AI 기반으로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최적화한다는 설명이다.
업체 관계자는 “부산시의 에코델타 스마트시티 추진 선언은 단순한 스마트시티를 넘어 AI 도시로의 진화가 실제로 시작됐다는 의미”라며 “피지컬 AI 기반 서비스들이 확장될수록 디지털트윈은 필수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