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신문=박광하기자]
안랩(대표 강석균)은 최근 '2023 도하 엑스포 VIP 초대장'으로 위장해 유포되는 문서파일에 악성코드가 포함된 것을 발견,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주의하라고 당부했다.
공격자는 먼저 'VIP Invitation to Doha Expo 2023(2023 도하 엑스포 VIP 초대)'라는 제목의 워드 문서 파일(.docx)을 메일 등으로 유포했다.
사용자가 해당 문서를 실행하면 '2023 도하 엑스포'의 VIP 초대장으로 보이는 본문이 열린다.
동시에 사용자 몰래 특정 URL에 자동으로 접속해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설치한다. 감염 이후 공격자는 PC내 정보 탈취, 추가 악성행위를 위한 권한 획득 등 다양한 악성행위를 시도할 수 있다.
공격자는 악성코드 설치에 최근 확인된 MS오피스의 보안 취약점을 악용했다. 현재 해당 취약점에 대한 보안 패치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대응 센터(Microsoft Security Response Center)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안랩은 V3를 비롯해 차세대 엔드포인트 위협 탐지 및 대응 솔루션 '안랩 EDR', APT 공격 대응 솔루션 '안랩 MDS'의 파일 및 행위 기반 진단 기능 등으로 해당 악성코드를 차단하고 있다.
피해 예방을 위해 사용자는 △오피스 SW, 운영체제(OS) 및 인터넷 브라우저(엣지, 크롬, 파이어폭스 등) 프로그램 최신 보안패치 적용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 다운로드·실행 금지 △백신 최신버전 유지 및 실시간 감시 기능 실행 등 보안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박종윤 안랩 분석팀 선임연구원은 "대형 이벤트를 사칭한 컨텐츠로 사용자의 관심을 끌어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방식은 꾸준히 발견되고 있다"며 "사용자는 출처를 알 수 없는 메일 속 첨부파일은 실행하지 말고, 소프트웨어나 OS 사용시 주기적으로 보안패치 및 업데이트를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 안랩, "공공 분야 '안랩 클라우드' 고객 증가"
- 안랩, AWS '올해의 라이징 스타 서비스 파트너 상' 수상
- 안랩, "암호화폐 분실 관련 도움말 위장 악성코드 주의"
- 안랩, '행안부 온-북 시범운영 사업' VPN 보안 인증 시스템 구축
- 안랩, 의료 헬스케어 분야 클라우드 보안 전략 소개
- 안랩, ICT 중기 정보보호 지원사업 공급기업 선정
- '안랩 온라인 세미나'서 클라우드 위협 대응 방안 소개
- 안랩, 2022년 1분기 매출 490억·영업익 33억
- KT, 지역 균형 발전 위해 중소SO와 상생 협약 체결
- 안랩 V3 모바일 시큐리티, 'AV-TEST' 모바일 부문 상반기 전회 인증
- 안랩, '홈네트워크 보안' 주제 발표·솔루션 전시
- 안랩, "이메일·협업 플랫폼 노린 보안위협 주의해야"
- 안랩 V3, AV-TEST 상반기 PC백신 평가서 '우수제품'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