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신문=차종환기자]
5G특화망(이음5G) 솔루션 전문기업 플랙토리(대표 김태훈)는 국민대학교 유일선 교수 연구팀과 함께 5G 1차 인증 표준인 EAP-AKA(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및 하이브리드 양자내성암호(HPQC) 기술을 적용한 ‘EAP-AKA’ HPQC 연동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플랙토리는 LG CNS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하이브리드 PQC를 5G망에 연동함으로써, 다가오는 양자컴퓨팅 시대에 대비해 5G특화망의 보안을 강화하는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는 평가다.
이번에 연동 테스트를 완료한 'EAP-AKA’ HPQC는 양자컴퓨터의 등장으로 인해 보안성이 위협받는 기존 5G 인증 방식을 강화하기 위해 설계됐다.
국민대 연구팀이 개발한 이 프로토콜의 기술은 기존 취약점을 개선하고 순방향 비밀성(Forward Secrecy) 및 하이브리드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결합, 미래 6G 시대를 포함한 통신 환경에 강력한 보안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플랙토리는 자체 개발한 5G특화망 코어 솔루션인 '엑스코어(X-Core)'를 국민대 연구팀의 'EAP-AKA’ HPQC와 성공적으로 연동시켰다.
이를 통해 5G 특화망 환경에 양자내성암호 기술을 내재화하는 기술력을 입증했으며, 이는 국내 통신 보안 기술의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는 중요한 성과가 될 전망이다.
플랙토리는 보안기술 강화에 그치지 않고, 국내 5G특화망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코어(Core) 장비의 높은 초기 도입 비용'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현재 5G 코어 장비 시장은 주로 외산 대기업 제품 위주로 고가에 형성돼 있어, 기술 도입을 망설이는 국내 중소·중견 기업의 디지털전환(DX)을 가로막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돼 왔다.
플랙토리는 '엑스코어'를 중소기업도 합리적인 가격에 도입할 수 있도록 공급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5G특화망 시장에서 국산 장비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입 대체 효과는 물론 제조 및 물류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5G특화망의 시장 저변을 획기적으로 확대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태훈 대표는 “이번 성과를 발판 삼아 양자보안 기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는 한편, 합리적인 가격의 코어 공급을 통해 중소기업의 5G특화망 도입 장벽을 낮추고 국내 산업 활성화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