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신문=박광하기자]
이정문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충남 천안시병)은 5일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국가계약법)' 일부개정안을 대표발의하며 입법 활동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공정거래위원회는 입찰 담합, 일감몰아주기 등 공정시장을 저해하는 행위를 한 업체는 정부와 각급 지방자치단체가 고시한 입찰에 참여할 수 없도록 하는 '입찰참가자격 제한 제도'를 운영 중이다.
그러나, 입찰참가자격 제한 제도는 법인의 합병·분할 등을 통해 제재를 손쉽게 벗어날 수 있다는 허점을 악용하는 사례가 나타나며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일례로 민방위 경보기 등을 지자체에 납품해온 A사는 2016년 다른 기업과 입찰 담합을 한 사실이 밝혀져 18억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은 한편 검찰에 고발됐으나, 다음 달 기업 분할을 통해 B사를 설립해 공공 입찰에 참여하고 현재까지도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이정문 의원의 개정안에는 이 같은 방법으로 부정당업자가 제한 처분을 손쉽게 회피하지 못하도록, 합병·분할 뒤 업종을 이어받은 법인이 종전 법인의 입찰참가자격 제한 처분을 승계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정문 의원은 "부정당업자가 합병·분할 등으로 입찰참가자격 제한 처분을 회피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한 허점"이라며 "법적 공백으로 공정 경제가 흔들리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개정안 발의에는 김민철·김철민·도종환·문진석·민형배·박상혁·안민석·윤관석·이동주·장철민·정필모 의원이 함께 이름을 올렸다.
관련기사
- 국가기관 비공개 수의계약땐 국회에 계약정보 제출
- 우수조달물품 사업에 외산 납품 '허점'… 조달청, 제도 개선 추진
- "국산제품 활용기여도 평가·국산 장비 인증제 정착돼야"
- 수의계약 하려고 '사업 쪼개기'… 공개경쟁입찰 원칙 실종
- 서울조달청, 입찰참가자격 확인 없이 사업 계약 '수두룩'
- 기성·기납부분 계약보증금 국고귀속 제외
- "사회 구성원간 불평등 심화… 갈등 해소 방안 마련 시급"
- 수사·정보기관 통신자료 수집 사후통지 절차 근거 마련
- "연구실 안전관리 개선 시급"
- 원전 주변 불법 드론 비행 전체 적발건수 64.2% 조종자 미확인
- "17개 광역지자체 공공와이파이 구축, 약 68배 격차 보여"
- KCA 빛마루센터, 예산 부족 탓 10년된 노후장비 돌려막기식 사용
- 국가연구데이터플랫폼 공유·연계 국내연구기관 8곳뿐
- 4대과기원 연구과제 데이터 관리율 '고작 1.3%'
- 지난해 이동통신 불공정행위 991건 적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