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온 국제특허법률사무소
기업에서 연구개발 업무를 하다 보면 자신이 속한 해당 기술분야의 경쟁사 기술동향이나 연구개발 동향을 파악해 경쟁사를 분석함으로써 경쟁사 대비 기술적 경쟁우위를 비교하고 연구개발 전략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을 때가 있다.
이러한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동향 또는 연구개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할 수 있는 문헌은 대략적으로 각종 학회지, 논문, 또는 공개된 특허문헌 등이 될 수 있다.
이 중에서 공개된 특허문헌의 경우에는 학회지나 논문과 달리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기술동향이나 연구개발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좋은 자료가 될 수 있다.
특허문헌에는 출원일, 출원인, 발명자, 발명의 내용 등이 자세히 공개되기 때문에 특허문헌을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상세 분석하기에 훌륭한 자료가 될 수 있다.
공개된 특허문헌을 이용하면 기술동향 및 연구개발 동향을 파악하는 것 이외에 특정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거나, 기술 개발의 아이디어를 얻거나, 새로운 연구개발 테마를 발굴하거나, 당해 기술의 원천특허나 핵심특허를 파악하거나, 라이센싱 가능한 특허를 발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기고에서는 먼저 공개된 특허문헌을 이용하여 당해 기술분야의 기술동향이나 연구개발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며 나머지에 대해서는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공개된 특허문헌을 이용해 당해 기술분야의 기술동향을 파악하고자 할 때 크게는 정량분석과 정성분석의 카테고리로 나뉠 수 있으며, 정량분석은 특허문헌의 양적인 내용을 토대로 기술동향을 분석해 보는 방법이고, 정량분석은 특허문헌의 실질적 내용을 분석하여 자신이 연구하는 기술의 기술흐름도를 작성하고 핵심특허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정량분석은 당해 기술과 관련한 특허의 모집단을 통해 도출한 유효한 특허들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출원 연도별 출원 동향이나, 출원인 및 발명자 별 출원 동향, 기술별 출원동향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정량분석을 통해 당해 기술과 관련한 분야의 특허출원 동향을 수치 및 그래프를 이용해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경쟁사의 특허출원이 어떤 기술에 집중되고 있으며, 과거에서 현재까지 어떻게 출원되고 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정량분석을 통해 관련 기술분야의 전체적인 기술 수준 및 경쟁사의 연구개발 동향을 수치를 통해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정성분석은 해당 기술분야와 관련된 도출된 특허들의 청구항 및 세부내용을 심층분석해 세부기술별 기술흐름도를 작성하고, 다양한 기법을 통해 R&D 방향을 도출하는 분석 방법으로서 주요 경쟁사의 핵심기술에 대한 세부 특허내용 분석을 통해 출원동향을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공개된 특허문헌을 통한 정량분석 및 정성분석은 주요 경쟁사의 출원동향을 다각도로 파악할 수 있어 자사의 기술과 주요 경쟁사의 기술을 상호 대비해 비교우위를 평가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자사의 기술이 경쟁사 기술대비 비교우의를 가질 수 있는 영역에 대한 도출이 가능하여 기술력을 집중시킴으로써 주요 경쟁사 대비 비교우의를 선점할 수 있는 기술 및 특허의 도출이 선제적으로 가능한 점도 있다.
이렇듯 공개된 특허문헌은 주요 경쟁사의 기술동향을 아주 심도있게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 중 하나로서 이러한 자료를 잘 활용해 기업의 기술 로드맵을 마련한다면 한층 더 경쟁력 있는 기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